Tags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프리미엄 리포트 ‘위클리AI브리핑(Weekly AI Briefing)’입니다.한 주 동안 쏟아지는 AI 뉴스 홍수 속에서 놓치지 않고 꼭 챙겨봐야 할 정보를 선별해 드립니다. 핵심 요약으로 독자분들이 시간을 아낄 수 있도록 돕고 ‘실리콘밸리+실리콘앨리’ 현장에서 빅테크, 유망 스타트업의 움직임을 취재하는 더밀크만의 인사이트를 추가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 알아보기 링크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출발해 볼까요?
박원익 2024.04.08 16:04 PDT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의 목소리에는 자신감이 가득했다. 근거 있는 자신감이었다. 지난 2022년 11월 말 오픈 AI가 GPT-3의 업그레이드 된 버전을 공개하고 생성 AI 열풍이 불었을 때 한국에서는 네이버, LG전자 정도만이 챗GPT와 비슷한 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을 개발, 운영할 여력이 있었다. 기술력과 비용면에서 거대 언어 모델을 운영할 수 있는 곳은 대기업 외에는 감당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에서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이 혜성처럼 나타났다. 지난 2021년 창업한 뤼튼은 오픈AI의 API를 이용해 한국어로 손쉽게 글쓰기가 가능한 서비스를 빠르게 내어 놓았고, 국내에서의 반응은 뜨거웠다. 불안정했던 오픈AI의 챗GPT보다 나은 한국어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빠르게 성장했다. 올해 기존 목표치였던 회원 100만 명을 9월에 조기 달성했다. 그리고 12월 현재 200만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세영 대표는 “올해 3월 대화형 플랫폼으로 전환 이후, 뤼튼은 매주 10%씩 성장해 왔다,”고 전하며 “지금은 그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Youngwon Kim 2023.12.25 21:54 PDT
2023년은 글로벌 기술, 산업, 경제 전반에서 역사에 기록될 만한 굵직한 사건들이 벌어졌던 한 해다. AI 기술업체 오픈AI는 지난 3월 선보인 대규모 언어모델(LLM) ‘GPT-4’로 전 세계에 놀라움을 선사했다. 미국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도 충격적이었다. 7월 기준금리를 22년 만에 최고 수준인 5.25-5.5%로 인상, 연말까지 유지하며 저금리 시대의 종언을 고했다.11월 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의 단짝이자 사업 파트너인 찰리 멍거(Charlie Munger) 버크셔해서웨이 부회장이 향년 99세로 별세했고, 암호화폐 거래소 FTX 붕괴 후 급락했던 비트코인 가격은 연초 대비 165% 이상 오르며 12월에 4만달러를 넘어섰다. 2023년 1년 동안 더밀크가 보도했던 기술·산업·경제 분야 주요 사건, 핵심 이슈를 통해 흑토끼의 해 ‘계묘년(癸卯年)’을 정리해 봤다.
박원익 2023.12.20 21:33 PDT
이홍락 LG AI연구원 최고AI과학자(CSAI, 부사장)는 지난 11월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더밀크와 한국무역협회가 공동 주최한 ‘트렌드쇼2024’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면 신약 개발 기간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소 2~3년에서 길면 10년 이상 걸렸던 신약 개발 기간이 수개월 또는 수주로 줄어들어 생성AI 혁명의 수혜를 '신약' 분야가 볼 것으로 예측했다. 이 부사장은 2013년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세계 10대 AI 연구자로 선정된 바 있다. 구글 브레인을 거쳐 미시간대 교수로 재직해오다 2020년 12월 LG AI연구원에 CSAI로 합류했다. 이 부사장은 LG AI연구원에서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EXAONE)’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신약개발·소재·화학 등 전문 영역에서 상위 1% 성능을 갖춘 AI 모델을 만든다는 목표다. LG AI연구원은 2023년 7월 전문가용 멀티모달(Multimodal, 다중모드) 모델 ‘엑사원 2.0’을 공개했다. 실제로 글로벌 AI 기술, 그중에서도 신약·신소재 분야의 잠재력은 매우 크다. 구글 딥마인드는 11월 29일(현지시각)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AI 도구 ‘지놈(GNoME)’으로 220만개의 새로운 물질 구조를 발견, 이 중 가장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38만1000개를 유망 후보 물질로 선별했다”고 밝혔다. 후보 물질에는 초전도체, 차세대 배터리 등 미래를 바꿀 가능성을 지닌 소재가 대거 포함됐다. 기존 연구 방식으로 800년 걸리는 일을 생성형 AI로 해낸 것이다. 과거에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일이 벌어지고 있다. 이 부사장이 바라본 생성형 AI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박원익 2023.12.03 16:49 PDT
"트렌드쇼를 통해서 많은 인사이트를 얻어서 저에게 너무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좋은 이벤트 주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백OO님. 새해 테크 및 비즈니스 트렌드를 예측, 분석해 미리 대비하기 위해 더밀크가 지난 24일 코엑스에서 주최한 '트렌드쇼2024'가 성황리에 열렸다. 올해로 2회를 맞는 트렌드쇼는 주목해야 할 트렌드를 콕콕 짚어주는 족집게 역할을 해오고 있다. 한국무역협회(KITA)가 공동 주최했으며 시어스랩, ACE ETF(한국투자신탁운용), 휴넷CEO, 카카오, 네이버, KT, 플로우 등이 후원했다. 올해 트렌드쇼에서는 인공지능, 거시경제, 메타버스, ESG 및 기후테크, 모빌리티, 소비자 및 세대, 스마트시티, 테크트렌드7 등 각 영역에서 최고 전문가들이 각각 2024년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전망했다.
Youngwon Kim 2023.11.23 23:35 PDT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의 예측입니다. 게이츠는 지난 9일(현지시간) 공개한 게이츠 노트 '에이전트의 미래'에서 사용자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발전된 AI 비서를 '에이전트(Agent)'라고 정의하면서 "AI 에이전트는 사람과 컴퓨터가 작용하는 방식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컴퓨팅 분야에서 가장 큰 혁명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즉, 앞으로 5년내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식이나 스마트폰을 쓰는 방식에서 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모든 것이 바뀔 것으로 예상한 것입니다. 빌 게이츠는 지난 6일 '오픈AI 개발자 대회(OpenAI DevDay)'에서 발표한 GPT-4 터보, 별도 개발 작업 없이(no coding) 특정 목적을 위한 맞춤형 챗GPT를 만들 수 있는 'GPTs' 그리고 GPT 스토어 등을 보면서 '에이전트의 시대'가 왔음을 인식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오픈AI, 초격차 만들었다... ‘데브데이’ 3대 키포인트 오픈AI "자비는 없다"... AI 스타트업 종말? 생존법은?사실 '개인 맞춤형 AI 서비스'라며 알렉사, 웨어러블, 구글 홈 등 수많은 '에이전트'들이 나왔지만 실제 생활을 바꾸는데는 미흡했습니다. 앞으로 생성AI와 결합될 이 제품들이 실제 '에인전트' 역할을 하게될지 또 다른 '바보 기기'가 될지 모르지만 확실한 점은 2024년부터는 하드웨어 혁명이 올 것이라는 점입니다.
손재권 2023.11.12 15:59 PDT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는 9일 “앞으로는 일상의 언어(everyday language, 자연어를 지칭)로 하고 싶은 일을 기기에 말하기만 하면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공개한 ‘게이츠노트(GatesNotes)’에서 인공지능(AI) 에이전트(agent, 대리인·비서)의 미래에 대한 생각을 공유한 것이다. 그는 AI 기술 발달로 인간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식이 완전히 달라지는 ‘AI 에이전트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금까지 인간은 컴퓨터와 소통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왔다. 특정 업무를 수행하려면 해당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프로그래밍)된 특정 소프트웨어, 앱을 사용해야 했던 것이다. 인터넷 시대, 스마트폰 시대를 거치며 수많은 소프트웨어·앱 개발 기업이 탄생하고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박원익 2023.11.12 13:53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