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미국 경제의 핵심 동력인 이동성과 소비 심리가 동시에 위축되고 있다. 미시건대가 발표한 8월 소비자심리지수는 58.6으로 전월 61.7에서 대폭 하락했다. 이는 4월 이후 첫 하락세로 소비자들의 심려 변화를 시사한다. 더 우려스러운 건 소비자들의 1년 후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4.9%로 급등한 점이다.조사를 주관한 조앤 수 책임자는 "소비자들이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모두 향후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소비 심리 악화의 원인을 설명했다. 실제 데이터에 따르면 응답자의 62%가 향후 1년간 실업률 상승을 전망했고 58%는 추가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올해 지출을 줄일 계획이라고 답해 향후 소비자들의 경기 전망이 어두워지고 있음을 시사했다.이런 심리 위축은 실물 경제 데이터로도 확인된다. 2023년 이후 최근까지 미국인의 이동률은 7.8%로 1948년 집계 시작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1950-60년대 연간 20%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해온 추세가 가속화된 결과다.월스트리트저널(WSJ)의 분석에 따르면 주택시장의 경직성이 경제 전반의 움직임을 막고 있다는 주장이다. 2017년 뉴저지에서 3.6% 모기지로 집을 구입한 브랜든과 캐서린 리기 부부 사례가 이를 잘 보여준다. 당시엔 이들은 아들 하나뿐이어서 "5-7년 후 더 큰 집으로 이사할 계획"이었다.하지만 지금은 세 아들을 키우면서도 이사를 포기했다. 현재 금리로 더 큰 집을 사면 월 상환액이 최소 두 배로 뛰기 때문이다. 이런 '황금 수갑' 현상이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다. 중위소득 가구의 주택구입 부담률이 수입의 39%까지 치솟으면서 거래 자체가 얼어붙었고 높은 금리와 주택가격은 이사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결국 필요한 사람이 적절한 집에 살지 못하는 미스매치가 심화되고 있다. 시카고 교외에 사는 밥 러파토 씨는 35년 전 자녀 둘과 함께 이사온 2400평방피트 집에 여전히 살고 있다. 그는 "좋은 학군에 있는 집인데 이제 자녀가 다 자라서 사실 이 동네에서 살 필요는 없다. 이제 우리는 다운 사이징을 해야하는데 다른 가족이 써야 할 집을 내가 막고 있는 셈"이라고 말해 현재 미국 가족이 처한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크리스 정 2025.08.15 12:09 PDT
이번 주 글로벌 시장의 핵심 시그널 중 하나는 은(silver)의 13년 만의 최고치 경신입니다.은은 어느새 온스당 36.06달러를 돌파하며 24% 급등했습니다. 은의 강세는 단순한 랠리가 아닌 구조적 전환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은 ETF에 7.7억 달러가 유입된 반면 금 ETF에서는 18억 달러가 빠져나간 것은 투자자들이 산업 수요와 인플레이션 헤지를 동시에 노리고 있음을 보여줍니다.동시에 미국 고용시장에는 균열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5월 신규 고용은 예상을 상회했지만, 과거 수치의 대폭 하향 조정과 노동참여율 하락은 경기 둔화의 전조입니다. 여기에 트럼프와 머스크의 충돌로 테슬라가 17% 폭락하며 정치 리스크의 위력을 실감케 했습니다.이번 주 밀키스레터는 실버 랠리의 의미부터 고용시장의 숨겨진 신호, 그리고 방산·사이버보안 ETF로의 자금 이동까지 지금 놓쳐서는 안 될 투자 인사이트를 담았습니다.
크리스 정 2025.06.08 15:23 PDT
관세충격은 없다!?이번 주 뉴욕증시는 4월 2일 '해방의 날' 이후의 관세충격을 모두 되찾는 놀라운 상승세를 보여줬습니다. 마치 관세로 인한 경제충격은 원래 없었던 것처럼 말이죠. S&P500은 무려 20년 만에 최장기간 연속 랠리라는 놀라운 기록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린 이미 알고 있습니다. 이미 데미지는 받았다는 것을 말이죠. 현재 글로벌 시장의 움직임을 단순한 '변동성'으로 치부해야 할까요? 미국의 1분기 역성장과 스태그플레이션 신호, 트럼프 행정부의 전반위 관세로 인한 미중 패권전쟁의 발화까지... 글로벌 시장은 단순한 변동성이 아닌 '질서의 전환기'에 있을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은 반등에 성공했지만 그 속내는 여전히 불안정합니다. 지금은 단순한 경기 사이클이 아닌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해할 때일지도 모릅니다.
크리스 정 2025.05.05 06:27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