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메타, 아마존 등 미국 대형 기술기업들의 생존을 위한 사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장 돈을 못 벌어서가 아닙니다. 현재가 아닌 미래를 위한 사투입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우려 등 거시환경 변화와 생성형 AI 기술과 같은 혁신의 등장, 그리고 각국 정부의 독점규제 법안과 같은 이슈들은 수십 년 간 견고하게 시장의 우위를 다져온 빅테크의 지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빅테크 기업들은 대규모 감원을 통해 비용절감에 나서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엔 구글이 1만 명 이상 해고를 단행했고, 메타와 아마존도 1만 명 이상이 자리를 잃었습니다. 이제 남은 직원들이 문제일 텐데요. 빅테크 기업들은 '백투베이식'을 외치고 있습니다. 집 차고에서 시작했던 '스타트업 정신'으로 돌아가자는 문화가 다시 빅테크 기업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복스는 "최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빅테크 기업들이 다시 스타트업 방식으로 돌아가고 있다"면서 "페이스북과 구글, 그리고 아마존이 자신들의 홈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스타트업 정신' 회귀, 득일까 실일까? 어떤 변화들이 이어지고 있을까요. 우선 메타, 알파벳, 아마존 등 기업들은 직원들에게 단기적인 보상 없이도 강도 높은 업무를 요구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순다르 피차이 알파벳 CEO는 직원들을 향해 "열심히 일하고 즐기는 것이 돈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구글이 한때 작은 회사였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철저한 문화로 돌아가자"라고 당부했고, 앤디 제시 아마존 CEO도 대규모 해고를 단행한 뒤 "창의적이면서도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단호하게 일하라"라고 당부했습니다. 복스는 "회사가 돈을 벌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반독점 규제에 직면한 상황 속에서 더 빨리 그리고 충분한 돈을 벌어와야만 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생존의 문제가 아니라 과거와 같이 급성장하고, 세상을 변화시킬만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어떤 변화를 가져와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또 빅테크 기업의 이런 변화는 전반적인 미국 기업들의 행동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반응은 극과 극입니다. 한편에서는 남아 있는 직원들에게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일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사기를 떨어뜨리고 최고의 직원들을 이탈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마가렛 모마라 워싱턴대 교수는 "이미 대기업이 된 회사에서 '우리는 스타트업 모드로 돌아가겠다'라고 하는 것은 효과가 없을 것"이라며 "불행한 직원들이 생길 뿐"이라고 분석했는데요. 드류 파스카렐라 코넬 비즈니스 스쿨 교수는 "정리해고를 둘러싼 부정적인 뉴스 속에서 남은 직원들에게 보다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라고 해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