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승승장구하던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위기를 맞았다. 제이피(JP)모건, 삼성, 아마존 등 기업과 금융사들이 잇따라 사내에서 챗GPT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나선 것. 최근 애플까지 이 대열에 동참하면서 강력한 ‘업무 생산성 도구’로 떠오르던 생성AI 챗봇의 입지가 약화하고 있다. 이들이 우려하는 것은 사용자와 기업의 ‘실수’로 인한 정보 유출이다. 직원이 실수로 대화창(프로포트)에 기밀정보까지 입력하거나, 챗봇이 오작동해 다른 사람의 채팅창에 이 정보를 유출하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하겠다는 조치. 이들의 금지, 제한 조치로 인해 생성AI 기업들은 자사 AI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자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이 데이터가 역으로 사용자를 떠나게 만드는 딜레마에 빠지게 됐다.
Sejin Kim 2023.05.21 10:50 PDT
‘저렴이’ 제품이 리브랜딩 되면서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습니다. 바로 듑이코노미(Dupe economy) 얘기입니다. 듑은 고가의 명품, 디자이너 브랜드를 복제(카피)한 이른바 저렴이 상품을 당당하게 소비하는 현상을 일컫습니다. 듑을 하나의 현상으로 만든 건 틱톡 인플루언서들입니다. 18일(현지시각) 기준 듑을 의미하는 #dupe, #Doupe, #doop 등 태그가 달린 틱톡 동영상은 4억건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죠. 구글 트렌드에서도 듑 검색량이 급상승했습니다. 2022년 유럽특허청(EU Intellectual Property Office)가 15~24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37%가 적어도 하나의 가짜 제품을 구입했죠. 2019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듑은 브랜드 및 로고를 그대로 따라 만든 가품, 이른바 ‘짝퉁’과 아슬아슬한 경계에 있습니다. 값비싼 제품과 유사하지만, 일종의 대체품이죠. 예를 들어 128달러짜리 룰루레몬(Lululemon) 팬츠와 디자인과 품질, 사용감이 비슷한 헤이넛츠(HeyNuts)의 팬츠, 35달러짜리 아마존 스웨트팬츠나, 버킨백 모양의 아마존백이 대표적인 듑 상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룰루레몬, 위협을 기회로이 같은 듑이코노미 현상은 명품 브랜드엔 악재입니다. 대체 브랜드가 품질도 비슷하고 이미지가 개선되면 굳이 비싼 명품을 살 유인이 줄어드니까요. 이에 거대 명품 그룹 모엣헤네시루이비통(LVMH)은 위조품 적발에만 매년 수백만 달러를 지출합니다. 짝퉁 상품을 제거하는 데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며 아마존과의 협력도 거부했죠. 그런데 이때 이 위기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룰루레몬(Lululemon)은 로스앤젤레스(LA)에서 지난 6일부터 이틀간 ‘듑 교환(Dupe Swap)’ 이벤트를 벌였습니다. 룰루레몬의 자사 얼라인하이라이즈팬츠의 모조품을 가져오면 블랙 컬러 얼라인팬츠 25인치로 교환해주는 행사였죠. 모조품, 대체품 사용자에게 오리지널 제품 간의 차이를 직접 느끼게 한다는 전략적 판단입니다. 행사에서 수거한 모조품은 섬유 재활용 기업에 보내 호평을 샀죠. 18일 기준 #lululemondupe 태그는 1억9000만회 이상 재생됐습니다. 한편 고육지책이라는 평도 있습니다. 알렉산더 체르네프 노스웨스턴대학교 마케팅 교수는 “브랜드가 사실 SNS를 통한 인기는 막기가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Sejin Kim 2023.05.18 23:49 PDT
생성 AI(인공지능)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와 정치적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샘 알트만(Sam Altman) 오픈AI(OpenAI) 최고경영자(CEO)가 미 상원 청문회를 '정면돌파'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미국 의회 한가운데서 생성 AI 서비스가 여러 부작용을 끼칠 가능성에 대해 인정하고, 되려 규제 기관을 만들어 달라고 촉구했다. 이런 ‘저자세’ 전략에 청문회에서는 유례 없는 훈훈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알트만 CEO는 16일(현지시각) 미 상원 법사위 법률 소위(Senate Judiciary subcommittee) 청문회에서 미국 국회의원들에게 생성 AI 서비스가 “대화형 허위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AI는 사실을 조작하거나 허위사실로 사람들을 설득하는 능력이 있다. 그리고 미국은 지금 내년 선거를 앞두고 있는 상태”라면서 “이 모델들이 점점 발전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AI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독립적인 감사, 라이선스 제도, 식품처럼 경고 문구 삽입 등 규제 마련을 요구했다.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들에 대한 지침도 필요하다고 했다. 다만 규제는 기술 제재가 아닌 기술 발전을 위한 목적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올바른 규제와 함께 생성 AI의 부작용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관련 서비스가 안착할 것이란 주장이다. 알트만 CEO는 “오래전 포토샵이 등장했을 때 한동안 상당히 많은 사람이 포토샵으로 처리된 이미지에 속았다”면서 “이후 사람들은 사진이 포토샵 처리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지금의 현상은 그때와 비슷하다”고 강조했다. 샘 알트만의 청문회 무엇이 달랐을까?
Sejin Kim 2023.05.16 16:16 PDT
주어진 명령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를 만들어내는 생성 AI가 전 세계 산업을 흔들고 있는 가운데, AI 산업의 미래를 바꿀 수도 있는 청문회가 16일(현지시각) 미국 의회에서 열렸다. 챗GPT로 AI 열풍을 만든 오픈AI(OpenAI)의 샘 알트만(Sam Altman) CEO가 미국 법사위 소위(Senate subcommittee hearing)에 사상 처음으로 참석했다. 미 의회가 2023년 초부터 AI 규제 강도를 높이고 있지만, AI CEO를 불러 직접 청문회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로 38세인 샘 알트만 CEO는 스탠퍼드대를 중퇴한 후 스타트업 투자 회사 와이콤비네이터를 거쳐 오픈AI를 공동 창업했다.청문회에 출석한 의원들은 AI가 만들 미래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며 규제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Hajin Han 2023.05.16 16:00 PDT
샘 알트만(Sam Altman) 오픈AI(OpenAI) CEO는 16일(현지시각) 미 상원 법사위 법률 소위(Senate Judiciary subcommittee) 청문회에서 “AI의 엄청난 이점을 누리려면 잠재적인 단점을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AI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 미국 정부, 의회 등 제도권의 감시와 협력이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샘 알트만 CEO가 이날 모두발언에서 가장 강조한 두 가지는 AI의 ‘안전성(통제 가능성)’과 ‘잠재력’이었다. AI 기술의 위험 요인은 전문가와 정부가 함께 통제 가능하다고 설파하면서 동시에 전 세계가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도한 규제’로 미국이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AI 산업의 주도권을 놓쳐서 안 된다는 논리다. 오픈AI는 지난해 11월 AI 챗봇 챗GPT(ChatGPT), 올해 3월 강력한 성능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 ‘GPT-4’를 잇따라 선보이며 AI 업계뿐 아니라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아 왔다. 이날 미 상원 법사위 역시 뜨거운 관심 속에 제기된 개인정보 침해, 인간과 비슷한 수준의 AI(AGI·인공일반지능) 출현과 같은 우려를 해소하고자 개최됐다. 다음은 샘 알트만 CEO의 청문회 모두발언 전문.
박원익 2023.05.16 09:07 PDT
에르메스, 샤넬…그냥 고가 브랜드가 아닙니다. 패션 업계에 ‘조용한럭셔리(Quiet Luxury)’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조용한럭셔리는 절제된 우아함, 고품질 소재 등을 강조하는 패션∙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입니다. 굳이 브랜드임을 드러내지 않고, 사용성에 초점을 맞춥니다. 주로 베이지 계통의 따뜻한 파스텔톤 컬러가 특징이죠. 화려한 컬러나 무니, 로고를 강조하는 기존 럭셔리 브랜드 소비 형태와 다른 흐름입니다. 조용한럭셔리는 지난 2년 전부터 소셜미디어(SNS)에서 이미 언급됐던 콘셉트입니다. 왜 이제서야 화제가 된 걸까요? 최근의 현상은 드라마 석세션(Succession's) 시즌4를 계기로 부상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기네스 펠트로가 프라다의 은은한 파란색의 블라우스와 스커트, 더로우(the Row) 오버사이즈코트를 입고 법정에 출두하는 장면이 화제가 됐죠. 이후 보그(Vogue), 뉴욕포스트(New York Post), 타임 매거진(Time Magazine), 데일리메일(Daily Mail) 등이 조용한 럭셔리 가이드를 다루면서 현상은 더 주목을 받았습니다. 1390달러 톰포드(Tom Ford) 후드티와 625달러짜리 로로피아나(Loro Piana) 캐시미어 블렌드, 야구 모자 등이 소개됐죠.뉴욕 스타일리스트 리즈 테이치는 “조용한 럭셔리 스타일은 단색 톤으로 맞춤제작된 옷을 입는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그가 크림색 하이웨이스트 팬츠에 검은색 가죽 벨트를 두르고 도바코 블레이저를 입은 틱톡 영상은 5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 successioncore(석세션코어)라는 해시태그도 등장했습니다. 👉 에르메스 아니다. 이제는 티 안 나는 명품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대표적으로 조용한럭셔리 브랜드로 현재 티나더스토어(Tiina the Store), 조셉듀크로스(JOSEPH DUCLOS), 알지캐인(RG KANE), 브로추워커(BROCHU WALKER), 케이지케이스튜디오(KZ_K STUDIO) 등이 언급됩니다. 인테리어로는 나타샤 다크넬(Natascha Dartnall), 아테나칼더론(Athena Calderone), 차루 간디(Charu Gandhi), 휘트니 파키슨(Whittney Parkinson) 등이 거론되는 중이죠. 2012년 티나더스토어를 설립한 티나 라코넨(Tiina Laakkonen)은 워싱턴포스트(WP)에 매장이 소재한 이스트 햄튼 지역에 구찌와 프라다가 등장한 것을 언급하며 "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잘 알고 계실 것”이라면서 “어쩌면 삶의 한 시점에서 에르메스가 그들에게 의미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오늘날 그들은 그 세계에 관심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작업복에서 영감을 받아 부드럽게 재단한 일본 브랜드인 아트앤사이언스(Arts & Science), 심플한 면 스커트와 블라우스의 라인을 갖춘 프랑스 브랜드 케이시케이시(Casey Casey), 손 뜨개질으로 만든 스웨터 컬렉션이 특징인 워멜스도프(Womelsdorff) 등도 자사 고객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로 언급했습니다. 이들 브랜드들은 스웨터 하나 가격이 약 1000~3000달러선에 형성돼 있습니다.
Sejin Kim 2023.05.12 15:00 PDT
‘챗봇에 수백 페이지 분량의 연구 논문을 입력하고 요약해 달라고 하면 얼마나 편할까?’상상을 실현해 줄 AI 챗봇이 등장했다. 오픈AI가 개발한 ‘챗GPT(ChatGPT)’, 구글이 선보인 ‘바드(Bard)’가 아니다. AI 스타트업 앤트로픽이 개발한 ‘클로드(Claude)’가 그 주인공이다. 앤트로픽은 11일(현지시각) AI 챗봇 클로드의 컨텍스트 창(context window)을 9000토큰에서 10만 토큰으로 확장했다고 밝혔다. 토큰은 글자, 형태소 등 AI 챗봇에 입력하거나 AI 챗봇이 출력할 수 있는 텍스트의 최소 단위를 뜻한다.
박원익 2023.05.11 16:02 PDT
구글의 연례 대형 컨퍼런스 내 발표 화면에 “한국어”라는 글자가 전면에 나타났다. 인공지능(AI) 챗봇 바드(Bard) 전면 오픈 소식과 함께 일본어, 한국어도 지원한다는 소식을 밝히기 위해서다.순다르 피차이 구글 대표(CEO)는 10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열린 구글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구글 I/O2023’에서 "오늘부터 바드 이용을 위한 대기자 명단 운영을 종료한다"면서 전면 공개를 선언했다. 지난 3월 출시한 지 한 달 반만이다. 바드는 컴퓨터 코드, 엑셀 함수, 커버레터, 각종 과제 등을 질문하고 텍스트로 답을 받을 수 있는 AI 챗봇이다. 바드는 오픈AI의 GPT-4를 사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검색엔진 빙(Bing)과 직접적인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챗GBT가 반향을 일으키면서 빙 점유율이 높아지자 구글은 질세라 바드를 출시했다. 하지만 시연 행사에서 바드가 오류를 일으키면서 그간 점유율에서 다소 뒤쳐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번 발표에선 구글의 강력한 검색 데이터를 바탕으로 챗봇 시장의 판을 흔들 발판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Sejin Kim 2023.05.10 15:11 PDT
검색 시장 판도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빅 이벤트가 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에서 펼쳐집니다. 구글은 이날 오전 10시(미 서부)부터 연례 개발자 행사인 '구글I/O' 행사를 개최하는데요.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에 생성AI 주도권을 내준 구글이 작심하고 준비한 행사라 더욱 주목할만합니다. 지난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구글I/O 컨퍼런스에서는 범용 대규모언어모델(LLM)인 PaLM의 차세대 버전과 챗GPT에 대응한 '바드'의 업그레이드 버전 등 다양한 생성AI 기술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업계에 따르면 차세대 버전인 PaLM2에는 100개 이상의 언어가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코딩 작업, 수학, 창의적인 작문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는 이날 기조연설에서 바드와 검색의 '생성적 경험'을 통해 사람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AI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바드 코딩과 수학, 논리 문제 풀이, 그리고 챗봇의 한국어와 일본어 확장 기능도 선보일 계획입니다. 👉구글 픽셀 폴드, 태블릿도 공개 기대CNBC에 따르면 구글이 큰 데이터 세트를 사용해 더욱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멀티 바드'라는 챗봇의 멀티 모드 버전을 개발 중이라고 하는데요. 구글은 실제 '빅 바드'와 '자이언트 바드'라는 챗봇 버전도 테스트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글은 오픈AI가 챗GPT를 공개한 이후 급하게 바드를 꺼내들었다가 주가가 폭락하는 등 체면을 구긴 바 있습니다. 이후 일부에게만 바드를 제한적으로 오픈하는 등 신중한 모습을 보였는데요. 이번 연례개발자 행사에 시선이 쏠리는 이유입니다. 구글은 또 스프레드시트에서 템플릿을 생성하고 슬라이드와 구글 미트에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워크스페이스 AI 공동 작업자'를 확장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사용자가 단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함께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채팅 상자가 있는 슬라이드 사이드바 기능이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밖에도 이미 출시를 예고한 픽셀 폴드를 비롯해서 픽셀 태블릿도 공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권순우 2023.05.09 16:09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