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 핵심이슈:1. 제롬 파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기준금리를 2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0% 범위로 동결.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3월 금리인하 없을 것으로 전망하며 시장의 기대와는 다른 매파적 포워드 가이던스 제시. 2. 빅테크 어닝: 장 마감 후, 애플(AAPL)을 비롯해 아마존(AMZN)과 메타플랫폼(META) 등 소위 매그니피센트 7 기업들의 실적 보고 예정. 시장은 애플의 아이폰 판매와 아마존의 클라우드 성장, 그리고 메타의 광고 수익에 초점을 맞출 것.3. OPEC+ 정례회의: 석유수출국기구와 동맹들의 모임인 OPEC+가 2024년 첫번째 정례회의를 개최. 최근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이 고조되고 석유 생산량 감산 합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생산량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 ✔ 자산시장동향:뉴욕증시는 미 연준의 매파적인 메시지를 무시하는 국채금리의 하락세에 긍정적인 데이터가 추가되며 다우지수가 300포인트 이상 상승하며 3대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 (다우 +0.97%, S&P500 +1.25%, 나스닥 +1.30%)국채금리는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잠재적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로 하락.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3.86%로 하락.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20%로 하락. 달러는 유럽 중앙은행의 매파적 스탠스에 유로화 및 파운드화 강세에 밀리며 하락 전환. 국제유가는 OPEC+의 정책 결정을 기다리는 가운데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포로교환 소식이 전해지며 급락. 크루드유는 배럴당 74달러로 2.4% 하락. 브렌트유는 배럴당 79달러로 2.8% 하락. 골드는 달러 약세에 힘입어 0.2% 상승. 구리는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우려로 1.4% 하락.
크리스 정 2024.02.01 13:17 PDT
✔ 핵심이슈:1. 빅테크 어닝: 지난 주 사상 처음으로 기업가치가 3조 달러를 넘어선 생성AI의 선두주자 마이크로소프트(MSFT) 실적보고. 제미나이를 발표하며 생성AI 혁신에 시동을 건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GOOGL) 실적보고. 반도체 대표주자 AMD(AMD) 실적보고. 2. 전기차 부진: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 최대 전기차 판매 기업이 된 중국의 비야디(BYDDF)는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보고. 비야디는 시장 추정치를 하회하는 실적과 함께 연간 이익 성장치를 86%로 제시하며 이전의 446%에서 급감. 3. FOMC: 올해 상반기 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가 옅어지는 가운데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시작.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3월 금리인하 가능성은 46.6%로 축소.✔ 자산시장동향:뉴욕증시는 시장의 랠리를 좌우할 핵심 촉매제로 빅테크 기업들의 어닝과 연준의 결정을 기다리는 가운데 3대 지수는 큰 움직임 없이 혼조세로 마감. (다우 +0.35%, S&P500 -0.06%, 나스닥 -0.76%)국채금리는 올해 시장의 금리인하 기대에 대한 경로를 재설정할 것으로 평가되는 연준의 통화정책회의를 기다리며 소폭 하락.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062%로 하락. 달러는 큰 움직임없이 FOMC 결정을 기다리며 강보합세. 국제유가는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로 약세. 크루드유는 배럴당 76달러로 0.3% 하락. 브렌트유는 배럴당 82달러로 0.58% 하락. 골드는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강화되며 1.38% 급등.
크리스 정 2024.01.30 14:55 PDT
블룸버그가 2024년 ‘매그니피센트7’ 기업 순이익 성장률이 미국 증시 기준인 S&P 500의 두 배에 달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매그니피센트7은 서부 영화 ‘황야의 7인(Magnificent Seven)’에서 비롯된 단어다. 월스트리트를 비롯한 투자업계에서 빅테크 기업 7개(애플∙마이크로소프트∙구글∙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2023년 나스닥 지수가 44% 이상 상승하는 등 기술주가 최고의 오름세를 보인 가운데 나온 전망이라 주목된다. 미국 증시에서 순이익 성장률은 주가와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지표로 여겨진다.
박원익 2023.12.28 16:12 PDT
미국 증시가 2018년 이후 최악의 10월을 보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25일 조정 영역(correction territory)에 들어간 데 이어 27일(현지시각) S&P 500 지수까지 조정 영역에 포함된 것이다. 미국 투자전문매체 배런스에 따르면 10월에 두 지수 모두 조정 영역에 들어간 건 2018년 이후 5년 만이다. 월스트리트에서는 지수가 최근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할 경우 ‘기술적 조정’으로 분류한다. 27일 뉴욕 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0.48% 하락한 4117.37로 마감했다. 최근 고점인 4588.96보다 10% 이상 떨어졌다. 나스닥 지수는 0.38% 반등, 1만2643.01을 기록했다. 다우존스 지수를 포함한 3대 지수 모두 주간 기준 2% 넘게 떨어진 한주였다. S&P 500 지수와 다우존스 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는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하락세다.
박원익 2023.10.27 20:38 PDT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앤트로픽이 1000만달러(약 135억원) 규모의 ‘AI 안전 기금(AI Safety Fund)’을 조성했다. 펀드 자금을 활용해 AI 안전 분야 연구를 촉진한다는 목표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앤트로픽은 25일(현지시각) “1000만달러 규모의 AI 안전 기금을 신설했다”며 “책임감 있는 AI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업계 전문 지식을 더 많은 청중과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앤트로픽은 지난 7월 AI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조직인 ‘프론티어 모델 포럼(Frontier Model Forum)’을 발족했다.
박원익 2023.10.26 14:35 PDT
나스닥이 올해 2월 21일(현지시각) 이후 최악의 하루를 경험했다. 강력한 빅테크 실적도 소용없었다. 경기 불확실성이라는 안개에 갇혀 어닝 서프라이즈는 모두 가려졌고 불안한 투자심리만 남았다. S&P500은 중요한 장기 추세선으로 인식되는 200일 이평선을 하회하면서 투자심리는 더 얼어붙고 있다. 하지만 최악의 상황에서 기회가 올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투자자들이 노려볼 만한 요인이 나타나고 있다. 1. S&P500은 지난 2년 동안 가장 많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는 강력한 지지레벨로 돌입하고 있다. 시장의 과매도세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때 매수 거래가 유입될 수 있는 지역. 2. 시장의 공포지수로 인식되는 VIX 변동성 지수는 시장이 저점을 내리고 있음에도 이전의 고점을 뚫지 못하며 모멘텀의 둔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투자심리가 완화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3. 시장의 공포를 자극했던 금리와 유가가 시장의 하락과 함께 가라앉았다. 10년물 국채금리는 4.98%에서 4.84%로 하락하며 어제의 상승세를 대부분 되돌렸다. 유가 역시 어제의 상승세를 모두 되돌리는 하락세를 기록했다.
크리스 정 2023.10.26 14:08 PDT
마이크로소프트는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고 알파벳은 예상보다 낮은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빅테크 기업의 실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 요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기 침체 우려와 금리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중국의 부채 증가와 자사주 매입 감소, 금과 비트코인 가격 상승 등의 흐름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번 동영상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금융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룹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의 실적 엇갈려, 빅테크 기업의 실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확인🌏 유럽과 중국의 경기 침체로 인해 글로벌 경제의 탄력성이 약화되고 있다. 💰 경기 침체와 금리 상승 우려 증가, 중국 부채 증가와 자사주 매입 감소, 금과 비트코인 가격 상승 주목📈 금융 시장은 AI 성장 경쟁과 부채 시장 변화로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음
크리스 정 2023.10.25 17:37 PDT
마크 저커버그 메타(티커: META, 페이스북 모회사) CEO는 25일(현지시각) “우리는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좋은 분기를 보냈다”며 이같이 말했다. 3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임직원들이 함께 만들어 낸 성과가 훌륭했다고 자평한 것이다. 그의 이런 자신감은 탄탄한 실적에서 비롯됐다. 메타는 이날 3분기 영업이익(Income from operations)이 전년 동기 대비 143% 급증한 137억4800만달러(약 18조6000억원)라고 밝혔다. 매출도 23% 늘었지만, 이익을 배 이상 크게 확대했다는 점이 이목을 끌었다. 지난 3월 공언했던 “올해를 효율성의 해(Year of Efficiency)로 만들겠다”는 경영 목표를 현실로 증명했기 때문이다. 당시 저커버그 CEO는 “향후 몇 달 동안 조직을 평준화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프로젝트를 취소하겠다”며 1만 명 이상을 해고하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 정책을 취한 바 있다.
박원익 2023.10.25 15:38 PDT
미국 주식 시장이 수요일(25일, 현지시각) 큰 폭으로 하락했다.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나스닥 지수가 2월 이후 최악의 날을 보이며 200일 이동 평균선에 근접했다. S&P500도 4200선을 밑돌며 장기적인 모멘텀이 약화되는 신호를 발산했다.나스닥은 수요일 세션 동안 2.3% 이상 하락 마감하며 200일 이동 평균에 매우 근접하게 접근했다. 200일 이동 평균선은 자산이나 지수의 장기적인 추세를 나타낼 수 있는 월스트리트가 면밀히 관찰하는 모멘텀 신호로 인식된다. 이 수준 아래로 종가가 형성되면 하락 추세를 암시한다.S&P500도 크게 뒷걸음질쳤다. 수요일 세션 동안 1.8% 하락하며 월가에서 면밀히 관찰하는 기술적 지지선인 4200선을 밑돌았다. 이는 5월 31일에 4179로 마감한 이후 처음으로 해당 지점 아래에서 종가를 기록한 것이다.주식 시장의 약세는 다양한 섹터와 종목에서 관측됐다. S&P500 주식 중 약 10%가 수요일 세션 동안 최소 1년 동안 볼 수 없었던 최저치에서 거래됐다.60개 기업이 2020년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최저치에 도달했지만 소수의 기업은 2014년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소 1년 동안 볼 수 없었던 최저치를 기록한 주식 목록에는 골드만삭스(GS)와 같은 거대 금융 기업이 포함됐다. 또한 페이팔(PYPL)을 포함한 기술주 에스티 로더(EL)와 같은 소비자 중심 기업도 포함됐다.주식 시장의 향방은 앞으로 나스닥과 S&P500 지수가 각각 200일 이동 평균선과 4200선을 지킬 수 있을지에 달려있다는 분석이다. 이 수준을 하회하면 상당한 매도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크리스 정 2023.10.25 13:37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