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아마존이 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에 27억5000만달러(약 3조7200억원)를 추가 투자, 총 40억달러(약 5조400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완료했다. 아마존은 지난해 9월 25일 앤트로픽에 12억5000만달러를 투자하며 향후 최대 40억달러까지 투자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아마존은 이번 투자로 앤트로픽 지분 일부를 보유하게 됐다. 다만 이사회에는 참여하지 않는다.아마존은 27일(현지시각) “오늘 27억50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 총 40억달러 투자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아마존에서 AI 비즈니스를 이끄는 스와미 시바수브라마니안 AWS(아마존웹서비스) 데이터 및 AI 부문 부사장은 “AWS는 전 세계 모든 규모의 조직이 고급 생성 AI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도록 지원하면서 앤트로픽과 역사를 함께 해왔다”며 “생성 AI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최근 ‘클로드3(Claude 3)’를 출시한 앤트로픽과 트레이니엄(AI 학습용) 칩, 아마존 베드록 같은 동급 최강 인프라를 가진 아마존의 협업으로 흥미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박원익 2024.03.27 18:24 PDT
“클로드3(Claude 3)가 챗GPT(ChatGPT)를 오징어로 만들었다.”정말 하루아침에 생긴 일이다. 오픈AI(OpenAI)에서 퇴직해 창업한 팀이 만든 앤트로픽(Anthropic)이 클로드3 서비스를 전격 출시했다. 디자인도 좋고, 속도도 빠르고, 응답의 품질도 챗GPT를 넘어섰다는 평가가 줄을 잇고 있다. 클로드3는 기본 모델(소네트, Sonnet)과 더 좋은 모델인 오푸스(Opus), 하위 모델인 하이쿠(Haiku)로 나뉘는데, 경험적으로는 품질의 차이를 알기 힘들 정도라 유료인 오푸스 모델(월 20달러)를 내고 써야 할 지 의문일 수준이다. 소네트(Sonnet)만 해도 챗GPT 유료 모델인 챗GPT 플러스에 적용되는 GPT-4에 필적하는 수준이고, 오푸스는 GPT-4를 넘어섰다.
유호현 2024.03.16 13:34 PDT
오픈AI의 라이벌로 불리는 AI 스타트업 앤트로픽이 강력한 성능의 새로운 AI 모델 ‘클로드3(Claude 3)’를 공개했다. 오픈AI의 GPT-4를 능가한다는 게 앤트로픽의 주장이다. 클로드3는 지난 2월 8일 공식 출시된 ‘구글 제미나이 울트라’에 이어 GPT-4의 성능을 뛰어넘었다고 밝힌 두 번째 AI 모델이다. GPT-4, 제미나이처럼 글(text)뿐 아니라 이미지도 인식·이해할 수 있는 앤트로픽의 첫 번째 ‘멀티모달(multimodal, 다중모드) 모델이라는 점도 주목을 끈다.
박원익 2024.03.04 13:16 PDT
어도비가 생성AI 기술을 활용, 누구나 음원을 만들 수 있는 도구를 공개했다. 포토샵, 프리미어 프로 등으로 유명한 어도비가 오디오·음악 제작 분야로 영역 확장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8일(현지시각) 어도비는 생성 AI 기반 음악 생성 및 편집 도구인 ‘프로젝트 뮤직 생성AI 컨트롤(Project Music GenAI Control)’을 공개했다. 사용자가 프롬프트(prompt, 응답을 얻기 위해 AI에 제시하는 요청)로 텍스트(text, 글)를 입력하면 오디오 및 음악을 생성하고 세밀하게 조정·편집할 수 있다. 예컨대 ‘강력한 록 음악’, ‘행복한 댄스 뮤직’, '슬픈 재즈’ 같은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오디오, 음악이 만들어진다. 포토샵 등에 적용돼 있는 어도비의 이미지 생성 도구 파이어플라이(Firefly)와 비슷한 방식이다. 니콜라스 브라이언 어도비 리서치 수석 연구 과학자는 “이 도구를 사용하면 생성 AI가 당신의 공동 창작자가 된다”며 “방송, 팟캐스트 제작자를 비롯해 적절한 분위기와 길이의 음악, 오디오가 필요한 모든 사람이 원하는 음악을 제작할 수 있다”고 했다.
박원익 2024.02.29 17:37 PDT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26일(현지시각)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4’ 기조연설에서 “AI폰 같은 AI 기기는 이동통신사에 큰 기회”라며 이같이 말했다. AI 기술이 기기의 미래를 바꾸고 있다는 주장이다. 구글의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 나노(Gemini Nano)’가 탑재된 구글 스마트폰 픽셀 8 프로(Pixel 8 Pro)가 대표적 예다. 픽셀 8 프로를 사용하면 인터넷 연결이 없어도 음성 녹음 자동 요약, 메시지 답장 자동 생성 등 내장된 AI 모델 기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으로 통화 중 실시간 통역 기능을 제공하는 갤럭시S24 시리즈도 마찬가지다. 갤럭시S24 등 최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기능을 활용하면 화면 속 이미지에 손가락으로 동그라미를 그려 해당 이미지에 대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AI 기술로 외국인과의 통화, 검색이 훨씬 편리해졌다. 허사비스 CEO는 “향후 기기의 형태는 스마트폰을 넘어 안경 등으로 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박원익 2024.02.28 15:31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프리미엄 리포트 ‘위클리AI브리핑(Weekly AI Briefing)’입니다. 한 주 동안 쏟아지는 AI 뉴스 홍수 속에서 놓치지 않고 꼭 챙겨봐야 할 정보를 선별해 드립니다. 핵심 요약으로 독자분들이 시간을 아낄 수 있도록 돕고 ‘실리콘밸리+실리콘앨리’ 현장에서 취재하는 더밀크만의 인사이트를 추가했습니다. 보다 깊이 있는 내용은 더 알아보기 링크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출발해 볼까요?
박원익 2024.02.26 21:28 PDT
샘 알트만 오픈AI CEO가 이끄는 ‘AI 반도체 프로젝트’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현재 이 프로젝트가 조달을 추진 중인 투자 유치금 규모가 한화로 무려 '1경원'에 가까운 7조달러(약 93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AI 모델을 구동하기 위한 인프라로서 AI 반도체가 중요한 건 맞지만, 거론되는 투자금 규모가 천문학적이어서 충격적이라는 반응이다. 7조달러는 골드만삭스가 향후 10년 동안 AI 발전으로 전 세계가 벌어들일 것으로 예측한 돈(GDP 증가분)과 같은 금액이다. 미국 연방정부가 발표한 2024 회계연도(FY2024, 2023년 10월1일~2024년 9월30일) 예산 규모(6조9000억달러) 보다도 큰 액수다. 대한민국 예산(2023년 기준)과 비교하면 15배에 달한다. 대범하다 못해 '현실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박원익 2024.02.10 18:31 PDT
구글이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AI 챗봇 앱 ‘제미나이(Gemini)’를 출시했다. 자체 스마트폰인 구글 픽셀 시리즈,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 등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별도 앱으로 구글의 생성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기존 AI 챗봇 브랜드명 ‘바드(Bard)’는 제미나이로 대체됐다. 바드의 엔진 역할을 했던 AI 모델이 팜2(PaLM 2)에서 제미나이로 바뀜에 따라 리브랜딩을 단행했다는 게 구글 측 설명이다. 오픈AI 제품으로 따지면 챗GPT(ChatGPT)의 이름을 GPT로 바꾼 격이다. 구글 대규모언어모델(LLM)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지닌 ‘제미나이 울트라’가 적용된 버전은 애초 ‘바드 어드밴스’로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리브랜드를 거치며 ‘제미나이 어드밴스(Gemini Advanced)’ 이름을 달고 출시됐다. 제미나이 어드밴스는 구글의 유료 구독 서비스 ‘구글 원’에 포함돼 ‘AI 프리미엄’ 요금제로 이용할 수 있다.
박원익 2024.02.08 05:00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