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프리미엄 리포트 ‘위클리AI브리핑(Weekly AI Briefing)’입니다. 한 주 동안 쏟아지는 AI 뉴스 홍수 속에서 놓치지 않고 꼭 챙겨봐야 할 정보를 선별해 드립니다. 핵심 요약으로 독자분들이 시간을 아낄 수 있도록 돕고 ‘실리콘밸리+실리콘앨리’ 현장에서 취재하는 더밀크만의 인사이트를 추가했습니다. 보다 깊이 있는 내용은 더 알아보기 링크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출발해 볼까요?
박원익 2024.03.06 09:14 PDT
‘마이크로소프트(1위), 엔비디아(4위), 메타(7위), TSMC(10위)...’글로벌 투자시장에서 AI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AI를 전면에 앞세운 ‘AI 퍼스트’ 기업들이 강력한 주가 상승을 보여주며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권 순위를 흔들고 있는 것이다. 미국 시장 시가총액 3위, 글로벌 4위에 오른 엔비디아가 대표적인 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10년대 이후 시가총액 1위 자리를 지켰던 애플을 밀어냈고, 메타 역시 AI 분야에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며 2023년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전문 기업 TSMC는 AI 반도체 붐에 힘입어 최근 테슬라를 밀어내고 글로벌 시가총액 10위에 올랐다.
박원익 2024.02.18 13:00 PDT
반도체 설계 업체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아마존을 넘어섰다. 생성AI 모델 학습 및 추론에 활용하는 최첨단 AI 반도체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투자자들이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이 아마존을 넘어선 건 2002년 이후 22년 만의 일이다. 13일(현지시각) 엔비디아는 뉴욕 증시에서 주당 721.28달러로 거래를 마감했다. 시가총액 기준 1조7810억달러 가치를 지닌 기업에 등극했다. 12일에도 장 중 잠시 아마존을 추월했지만, 이날은 종가 기준으로 시총을 능가했다. 1조7810억달러는 시가총액 순위로 보면 1위 마이크로소프트(3조190억달러), 2위 애플(2조8570억달러), 3위 알파벳(구글 모회사, 1조8110억달러)에 이어 4위에 해당한다. 아마존 시가총액은 1조7510억달러였다.
박원익 2024.02.13 18:35 PDT
샘 알트만 오픈AI CEO가 이끄는 ‘AI 반도체 프로젝트’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현재 이 프로젝트가 조달을 추진 중인 투자 유치금 규모가 한화로 무려 '1경원'에 가까운 7조달러(약 93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AI 모델을 구동하기 위한 인프라로서 AI 반도체가 중요한 건 맞지만, 거론되는 투자금 규모가 천문학적이어서 충격적이라는 반응이다. 7조달러는 골드만삭스가 향후 10년 동안 AI 발전으로 전 세계가 벌어들일 것으로 예측한 돈(GDP 증가분)과 같은 금액이다. 미국 연방정부가 발표한 2024 회계연도(FY2024, 2023년 10월1일~2024년 9월30일) 예산 규모(6조9000억달러) 보다도 큰 액수다. 대한민국 예산(2023년 기준)과 비교하면 15배에 달한다. 대범하다 못해 '현실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박원익 2024.02.10 18:31 PDT
“가장 복잡한 AI 클라우드부터 초소형 에지 디바이스(edge device, 스마트폰 등 사용자와 가까운 말단 기기)까지, Arm의 AI는 어디에나 있습니다.”영국 반도체 설계자산(IP) 기업 Arm은 7일(현지시각) 발표한 주주 서한에서 “AI 수요 증가에 힘입어 라이선스 매출이 증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저전력 고성능 칩 수요가 급증하며 지난 2023년 4분기(Arm 회계연도 3분기) 매출과 이익이 월스트리트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설명이다. 이날 장 마감 후 발표된 실적 호조 소식에 투자자들은 환호했다. 시간 외 거래에서 한때 40% 가까이 주가가 폭등하기도 했다. 현재도 20% 넘게 상승한 가격에서 거래되고 있다.
박원익 2024.02.07 16:10 PDT
미국의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으로의 반도체 기술 유출 관련 우려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29일(현지시간) 뉴욕 링컨 센터에서 열린 뉴욕타임스(NY) 주최 딜북 콘퍼런스에서 엔비디아 칩의 대중국 수출 금지 조치와 관련, "중국이 이를 확보한다고 해도 이를 활용, 적용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황 CEO의 이 같은 발언은 AI칩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기술력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생성 AI 등장으로 AI칩 수요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 가운데 A100, H100을 중심으로 한 엔비디아의 AI칩은 전 세계 AI칩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술 기업들은 엔비디아와 협업과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젠슨 황 CEO는 최근 메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들의 잇따른 기술 개발 콘퍼런스에 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인공지능 칩 수요가 급증하면서 엔비디아는 지난 3분기 181억 2000만 달러의 매출과 주당 4.02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를 훌쩍 웃도는 실적이다. 빅테크 기업들은 엔비디아에 대응해 자체 칩을 내놓고 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 개발한 '마이아 100', '코발트 100' 등을 공개했고, 구글은 이미 AI칩 TPU 등을 자체 개발해 업그레이드 중이다. 아마존 역시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인 아마존웹서비스(AWS) 콘퍼런스인 'AWS 리인벤트'에서 자체 개발한 AI칩 '트레이니엄 2(Trainium2)'와 '그래비톤 4(Graviton4)'를 선보여 주목받았다. 이밖에도 AMD, 인텔 등 전통적인 칩 제조사들도 업그레이드한 제품을 내놓고 엔비디아의 뒤를 쫓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당분간 엔비디아의 지배력을 넘어서기는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배런스는 제프리스의 분석을 인용, "최근 6개 주요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의 9월 AI워크로드를 분석한 결과 엔비디아의 점유율이 86%를 차지했다"라고 전했다. 지난 1년 동안 수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엔비디아 AI칩의 강점은 무엇일까?
권순우 2023.11.30 06:46 PDT
오픈AI가 선보인 AI 챗봇 ‘챗GPT(ChatGPT)’가 사용자 방문(traffic)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픈소스 모델의 약진, 성능저하, 비용문제 등 3대 이유를 배경으로 꼽고 있다. 웹 데이터 분석 업체 ‘시밀러웹(SimilarWeb)’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오픈AI가 운영하는 챗GPT의 전 세계 월간 방문자 수(Monthly Visits Desktop & Mobile Web)는 지난 7월 15억명을 기록, 전월 대비 9.6% 감소했다. 앞서 6월 최초로 트래픽 감소(9.7%)를 경험한 후 두 달 연속 10%에 가까운 하락을 나타낸 것이다.
박원익 2023.08.14 16:06 PDT
AMD가 예상에 못 미치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그러나 다음 분기인 3분기 실적 호조 전망과 AI 하드웨어 출시 기대감에 장 마감 후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AMD는 1일(현지시각) 2분기 매출이 18%의 감소한 53억6000만달러(Non-GAAP)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레피니티브가 집계한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의 추정치인 53억1000만달러를 소폭 웃도는 수치였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58달러로 월가 예상(0.57달러)과 비슷했다.
박원익 2023.08.01 15:23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