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아마존(티커: AMZN)이 자체 반도체를 개발 중인 사실이 밝혀졌다. 클라우드 컴퓨팅 성능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아마존은 자체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만들기 때문에 언제든 자체 칩 개발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30일(현지 시각)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아마존은 2015년 인수한 반도체 개발업체 '안나푸르나 랩스(Annapurna Labs)' 팀을 통해 네트워크 스위칭용 칩을 개발 중이다. 자체 네트워킹 칩을 활용해 클라우드(AWS) 서비스 성능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아마존이 자체 칩을 사용하면 현재 칩 공급원인 브로드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 이날 브로드컴(AVGO) 주가는 3.48% 하락했다.아마존은 안나푸르나 랩스를 통해 ARM 아키텍처 기반 칩 설계 기술을 확보했다. 2018년 서버용 칩 ‘그래비톤’을 선보였고, 2019년 말 그래비톤2 개발을 완료했다. 아마존은 2020년 그래비톤2 프로세서가 적용된 IaaS(서비스형 인프라) ‘EC2 C6g 인스턴스’를 선보이며 인텔 아키텍처 기반인 기존 제품보다 40% 이상 가격 대비 성능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아마존 CEO(최고경영자)로 내정된 앤디 재시(Andy Jassy)는 작년 12월 AWS 리인벤트(Re : invent) 행사에서 “아마존은 안나푸르나 랩스를 통해 반도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고객에게 매우 유용한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아마존은 칩을 개발해 데이터 센터와 인터넷 간 데이터 이동에 사용하는 ‘물리적 스위치’ 성능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이는 클라우드 서비스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 교육', '고성능 컴퓨팅용 하드웨어 구축'과 밀접히 연관돼 있다. 스위치 성능 개선으로 데이터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박원익 2021.03.31 01:17 PDT
학창 시절 화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라면 원자(Atom)와 분자(Molecule)에 대해 모두 들어봤을 것이다. 원자는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입자를 나타내고 분자는 물질의 성질을 가지는 가장 작은 입자를 뜻한다. 산소 원자가 두 개가 붙으면 산소가 되지만, 산소 원자 하나에 수소 원자 두 개와 함께 붙으면 물이 된다. 이처럼 같은 원자가 사용되어도 구성이 어떻게 되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구조와 물성을 지니게 된다. 원자와 분자의 구성 방식에 착안한 디자인 접근법을 아토믹 디자인 시스템(Atomic Design System)이라 부른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플루언트 디자인(Fluent Design), 구글의 머테리얼 디자인(Material Design) 처럼 대표적 IT 기업은 모두 아토믹 디자인을 활용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해 놓은 상태고, 전세계 다양한 기업과 디자이너가 아토믹 디자인 접근법을 적극 활용 중이다. 과연 어떠한 이유에서 이 아토믹 디자인 시스템은 업계의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일까?
김영아 2021.03.26 00:12 PDT
MS가 게임 커뮤니티 스타트업 디스코드(Discord)를 100억달러(약 11조원) 이상에 인수하기 위해 협상 중입니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디스코드가 잠재적 인수 대상자들과 협의를 하고 있으며 MS와도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인수합병(M&A)보다는 상장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디스코드는 초대 전용 커뮤니티인 ‘서버(Server)’로 이루어진 폐쇄적 커뮤니티 플랫폼입니다. 지인이나 외부 커뮤니티 등을 통해 초대장을 받은 사람들은 서버 안에서 텍스트와 이모티콘, 음성, 영상 통화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게이머들을 위한 커뮤니티로 출발했지만 팬데믹 기간 중 이용자들이 급증하면서 게임뿐 아니라 스터디그룹, 북클럽, 댄스클래스 등 가상공간에서 가능한 모든 모임으로 확대됐습니다. 특히 페이스북, 트위터 등 대다수 SNS들이 광고 기반의 수익구조를 지닌 것과 달리 구독모델로 광고 없는 ‘찐팬’들이 또 다른 찐팬을 낳는 구조로 승승장구 하고 있습니다. 월간 이용자는 1억4000만명으로 팬데믹 기간 중 2배 늘었고 매출은 2019년 4500만달러에서 2020년 1억3000만달러로 3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지난 1월 미국 성인들은 트위터나 스냅챗, 레딧보다 디스코드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해 12월 디스코드의 기업가치는 70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MS는 왜 디스코드를 인수하려 할까요? MS는 ‘약한 고리’인 소셜 분야를 보완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을 인수하려 했다가 실패한 후 B2B 소셜 ‘링크드인’을 제외하고 성공한 사례가 없습니다. 지난해 틱톡 인수전에 참여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하지만 역시 실패). 전문가들은 MS가 디스코드를 인수할 경우 ‘게임’과 ‘SNS’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최근 베데스다 모회사인 제니맥스 미디어(ZeniMax Media)를 75억달러에 인수하는 등 게임 부문은 MS가 주력하고 있는 분야인 만큼 게임 기반의 커뮤니티인 디스코드는 MS에 날개를 날아줄 수 있습니다. 매튜 칸터맨(Mattew Kanterman) 블룸버그 인텔리젼스 분석가는 “디스코드의 프리미엄 서비스인 ‘나이트로(Nitro)’를 MS의 게임패스 서비스에 끼워 판다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디스코드는 에픽게임즈, 아마존과의 M&A도 거론된 적이 있는 만큼 여러 기업들이 눈독 들이고 있는 SNS입니다. 과연 Z세대를 장악한 디스코드 인수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왜뜰까?] 디스코드는 어떻게 Z세대를 장악했나
송이라 2021.03.23 13:51 PDT
잭 도시(Jack Dorsey) 트위터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006년 처음으로 올린 트윗을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발행해 입찰에 나섰습니다. 6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도시 CEO는 자신의 첫 트윗을 NFT 경매에 올려 현재 최고 입찰가 250만달러(약 28억원)를 기록중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동안 그가 꾸준히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을 보여온 만큼 NFT에도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실제 그가 운영하고 있는 또다른 기업인 결제 플랫폼 스퀘어는 지난 2월말 3318개의 비트코인을 구입하는 등 적극적인 비트코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NFT 기술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표식을 부여하는 기술로, 영상, 그림, 음악 등 콘텐츠를 복제 불가능한 디지털 세계의 원작으로 만들 수 있어 최근 일각에서 NFT 디지털 자산을 투자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원본은 공개돼 누구나 온라인에서 볼 수 있지만 소유권은 낙찰받은 사람만이 가집니다. 또 대부분의 자산과 각각의 NFT는 독특하고 복제할 수 없는 아이템으로, 한 NFT를 다른 NFT와 교환할 수 없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온라인상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NFT로 구입할 수 있으며 소유권자는 차익을 받고 NFT를 판매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 아티스트부터 록밴드까지 콘텐츠를 만들어 NFT로 발행하고 판매하는 붐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달 크리스 토레스(Chris Torres)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유행한 인터넷 밈을 모아 만든 작품 ‘나이안 캣(Nyan Cat)’은 60만달러(약 6억7000만원)에 판매됐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아내 그라임스가 NFT로 경매에 내놓은 디지털 그림들 또한 이달 초 580만달러에 팔렸습니다. 지난주 크리스티 경매에서는 10초짜리 비디오를 사기 위해 660만달러를 지불한 사례도 나왔습니다. 복제 불가능하고 탈중앙화가 가능한 디지털 시대 NFT가 또다른 강력한 자산군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송이라 2021.03.08 10:05 PDT
모빌리티(mobility, 이동 수단) 산업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실리콘밸리 빅테크(Big Tech) 기업의 경쟁이 뜨겁다. 스마트폰의 뒤를 잇는 차세대 디바이스(기기)로 자동차가 빠르게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전문가들은 미래의 자동차가 ‘움직이는 컴퓨터’로 진화, 새로운 혁신 플랫폼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출현에 힘입어 성장해 온 빅테크 기업 입장에서는 놓칠 수 없는 먹거리다.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애플은 어떤 전략과 방향성을 가지고 미래를 준비하고 있을까? 모빌리티 산업 주도권을 쥐기 위한 핵심 기술·서비스 트렌드로 꼽히는 △딥러닝(Deep Learning, 심층학습) △로보택시(Autonomous Ride –Hailing) △전기차(Electric Vehicles)를 중심으로 4대 빅테크 기업의 전략을 분석했다.
박원익 2021.03.05 01:22 PDT
실제 모습과 가상의 이미지를 겹쳐 보여주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세상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2일(현지시간) 부터 4일까지 개최한 개발자 컨퍼런스 ‘이그나이트(Ignite)’에서 증강 현실, 혼합 현실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 들어와 있으며 주류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MS는 이그나이트에서 혼합현실을 가장 대중화한 사례로 ‘포켓몬고(Pokemon Go)’를 꼽았다. 포켓몬고는 아바타가 현실과 겹쳐져 선풍적인 인기를 끈 게임이다. 혼합현실 사례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많아졌다. 교육이나 콘서트, 파티 등에서도 사용됐다. 소비자들도 구매 결정을 하기 전에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물건을 경험하기도 했다. 가상의 가구를 미리 현실 환경에 배치했으며, 패션 디자인에서도 활용됐다. 산업 현장에서도 새로운 직원들을 교육하고, 원격으로 전문가의 안내를 받는 데 사용됐다. 그러나 혼합현실 기술이 발전했음에도 대중화가 어려웠던 것은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이먼 스카리아(Simon Skaria) 마이크로소프트 혼합 현실 제품 개발 디렉터는 혼합 현실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을 세 가지로 설명했다.첫째, 고해상도 3D 모델을 혼합 현실 안에 구현하는 것이 어려웠고 둘째, 사람을 실제 모습대로 구현하고 장소/시간/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홀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어려웠으며, 마지막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행동과 표현들을 동기화하는 것이 힘들었다는 것이다. 그동안 혼합현실 구현에는 많은 시간과 자본이 필요했다.
한연선 2021.03.03 11:23 PDT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는 2일(현지시간) 이그나이트 2021 기조연설에서 ‘클라우드에서 일어날 차세대 혁신을 주도할 방법'을 제시했다.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미래 비전과 방향을 밝힌 것이어서 주목된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는 “10년 전 클라우드 시대의 도래를 이야기했다면, 이제는 우리 삶을 완전히 바꿔버린 클라우드가 다음 단계의 대단위 경제 성장을 어떻게 이끌지 이야기할 때”라고 강조했다. 또 “어디에나 존재하고 탈중앙화된 컴퓨팅, 독립된 데이터와 생활환경지능(ambient intelligence), 능력이 향상된 창작자들과 커뮤니티, 모든 글로벌 인력에 확장된 경제적 기회, 그리고 신뢰를 기반으로 한 기술이 향후 클라우드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제시한 클라우드 컴퓨팅 혁신의 5가지 포인트를 정리한다.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산업이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 예측해 볼 수 있다.
김인순 2021.03.02 22:28 PDT
가상현실에서 일하고 협력하는 시대가 열린다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일의 미래를 바꾸는 메타버스 구현을 시작했다. 혼합현실 플랫폼 ‘메쉬’로 포문을 열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3월 2일(현지시각) 개발자 컨퍼런스인 이그나이트(Ignite)에서 혼합현실 플랫폼 메쉬를 전격 공개했다. MS 메쉬는 단순한 가상 회의용 앱이 아니라 애저(Azure) 위에 구축된 혼합현실 플랫폼(mixed reality platform)이다. 누구나 다양한 장치에서 가상 환경을 공유하게 한다. 키넥트와 홀로렌즈의 발명가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알렉스 킵만(Alex Kipman)은 키노트에 나와 “메쉬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의 꿈이었고, 처음부터 추구해 온 아이디어”라고 설명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그리고 일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선포했다. 기술 발전으로 인해 업무 환경이 크게 바뀌고 각 직장은 이에 적응할 것이란 예측이다.
한연선 2021.03.02 16:48 PDT
식료품 딜리버리앱 인스타카트가 최근 진행된 투자 라운드에서 390억달러(약 43조 86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 받으면서 기업공개에 청신호가 켜졌습니다. 2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인스타카트의 기업가치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4배 가량 급등했습니다. 5개월 전 177억달러로 평가 받으며 2억달러를 모금한 데 이어 최근 2억6500만달러를 추가했습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안드레센 호로위츠(AtoZ), 세콰이아, D1캐피털파트너스 등 기존 VC와 피델리티, 티로우프라이스(T.Rowe Price) 등 기관투자자들이 주도했는데요, 팬데믹 기간 중 식료품 배송 서비스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인스타카트의 기업가치도 올랐습니다. 닉 지오반니(Nick Giobanni) 인스타카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해 사람들이 식료품 및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이 바뀌면서 뉴노멀로 안내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테크기업들 중심으로 IPO 시장은 큰 붐을 이뤘습니다. 스노우플레이크, 에어비앤비, C3.ai 등 기업들은 상장 후 두 배 이상 성장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결제 플랫폼 스트라이프(Stripe)는 1000억달러 이상 가치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등 투자자들의 욕구도 강한 분위기입니다. 인스타카트는 지난 몇 달 간 임원진과 이사진을 구축하면서 IPO 준비에 한창인데요, 과연 도어대시처럼 성공적으로 시장에 데뷔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송이라 2021.03.02 13:19 PDT
지금이 위기 상황이라 하는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물론 최근에 투자를 시작한 분들이나 목돈을 넣은 분들은 힘들 수도 있다. 1주일 단위로 잘라서 보기보다는 장기적으로 보고 방향을 잡는 것이 좋다.지금은 조정기(코렉션)가 아니다. 조정장은 3대 지수가 다 떨어져야 하는데 지금은 다우지수, S&P500, 나스닥이 연일 하나 올라가면 다른 거 내려간다고 한다. 다만 버블 주식 일부는 계속 떨어지고 있다. 버블 회사 중에 ‘테슬라’를 언급하고 싶다. 테슬라 공장이 지금 올스탑 됐다는 첩보가 있다. 공장이 멈춘지 2주가 넘었다고 한다. 모델3 못 만든다. 내가 테슬라를 싫어하는게 아니라 이 회사가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얘기한다. 비중을 줄이는 게 좋을 것 같다. 포드도 지금 베스트셀링 F150 생산을 계획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반도체 칩을 받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테슬라 칩은 TSMC에서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TSMC는 반도체 생산에 어러움을 겪고 있다. 예상보다 반도체 생산량이 적다. 심각한 점은 빨리 회복될 것 같지는 않다는 것이다. 테슬라는 TSMC 외에도 텍사스에 위치한 반도체 회사에서도 받고 있는데 그 회사도 ‘올스탑’됐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테슬라는 이 사실을 자꾸 숨기려 하는 것 같다. 생산 중단 이틀이 아니라 2주라고 알고 있다. 나는 테슬라가 싫은 게 아니라 이렇게 공개하지 않으려는 태도가 싫다. 홈디포를 봐라. 솔직하게 얘기하지 않나. 소비가 증대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PC용 칩 늘어났고 자동차용 반도체 줄었다. 그렇다고 뚝딱 반도체 생산을 늘릴 수는 없을 것이다. 예상보다 심각하다.
손재권 · 미국형님 데이빗 리 2021.02.27 22:57 PDT
여성이 먼저 남성에게 말을 걸어야만 만남이 성사되는 데이팅 앱 ‘범블(Bumble)’이 상장 첫 날 130억달러(14조3900억원)의 시장가치를 입증하며 화려하게 데뷔했습니다. 11일(현지시간) 범블은 시초가 대비 63.5% 급등한 70.3달러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12일도 7% 이상 상승했습니다. 팬데믹이 가져온 고립은 만남에 대한 갈증으로 이어졌고 수많은 데이팅 앱들이 난무하는 환경을 조성했는데요, 온라인으로 누군가를 만난다는 건 일정 부분 위험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누가 어떤 식으로 정보를 속이거나 좋지 않은 의도로 접근하는지 걸러낼 수 없기 때문이죠. 데이팅 앱들이 늘 성희롱과 차별 등 레퍼런스를 철저히 관리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런 면에서 범블은 여타 데이팅 앱들과는 전혀 다른 컨셉으로 접근합니다.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휘트니 울프 허드(Whitney Wolfe Herd)는 과거 공동창립자로 세웠던 회사 ‘틴더(Tinder)’에서 성희롱을 당해 소송전까지 벌이면서 회사를 떠난 인물입니다. 그는 이 사건으로 여성 중심의 데이팅 앱을 고안해 냈고 2014년 ‘먼저 움직여라(Make the first move)’는 슬로건을 내걸고 범블을 설립했습니다. 범블에서는 여성이 먼저 손을 흔들고 대화를 시작해야 합니다. 안전하고 효과적이란 입소문이 퍼지면서 지난해 1~9월 사이 3억77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실제로 범블은 데이트 앱 중 여성 유료 사용자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상장 증권신고서(S-1)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여성이 보낸 메시지 수는 전년 2019년 1분기 대비 30% 늘었습니다. 현재 150개국에서 범블을 사용 중이며 월간 활성 사용자수(MAU)는 지난해 9월 기준 4200만명, 유료 사용자는 240만명을 기록했습니다. 단순히 남녀간 만남을 위한 기능인 BFF뿐 아니라 비즈니스 네트워크 플랫폼 Bizz, 유색인종의 초기 투자금 유치를 위한 범블펀드까지 내놓으며 경쟁사 매치그룹을 빠른 속도로 따라잡고 있습니다. 범블의 IPO는 여러 의미에서 유리천장을 깨뜨렸습니다. 이제 겨우 31세의 허드 CEO는 상장기업 최연소 여성 CEO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지난해 IPO한 약 560건의 기업 중 여성 CEO는 오직 8명에 불과할 정도로 기업의 세계는 여전히 여성에게 척박합니다. 이런 시장에도 허드는 자신의 상처를 딛고 당당히 10억달러 이상의 재산을 쌓으며 최초의 기록을 써내려가고 있습니다. 범블의 이사회는 70% 이상이 여성인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적극적이고 주체적 여성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온 몸으로 실천해가고 있는 셈입니다. 과연 범블이 딘더와 힌지, 오케이큐피드를 보유한 라이벌 매치그룹을 어떤 방법으로 따라잡을지 흥미롭게 지켜봐야 겠습니다.
송이라 2021.02.12 16:41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