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경제를 지배하라... AI 시대 스테이블코인과 한국의 선택
한국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논란이 거세다. 현재의 담론과 우려는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의 등장 당시를 연상시킨다. 당시 많은 이들이 인터넷을 단순한 ‘전자우편 시스템’이나 ‘디지털 도서관’으로 여겼다. 기존 시스템의 디지털 버전에 불과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은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를 넘어 인류 문명의 운영체제를 바꾸는 혁명이었다.오늘날 스테이블코인을 보는 시각도 이와 유사하다. 많은 이들이 이를 ‘디지털 원화’ 정도로 이해한다. 기존 화폐를 블록체인에 올린, 더 빠르고 편리한 송금 수단으로 치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스테이블코인의 본질을 놓치는 오해다. 스테이블코인은 AI와 인간이 공존하는 자율경제의 공통 언어이자, 다가올 문명 전환의 핵심 인프라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경제 주체의 변화, 전통 금융의 한계, 기술 표준의 진화, 글로벌 경쟁, 그리고 한국의 전략적 선택을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