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의 미래는 여기에서 나온다 : 5대 기회
"AI 기술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큰 성장 기회가 있을 것입니다"지난 16일(현지시각) 미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열린 ‘한미 AI 반도체 혁신센터(K-ASIC)’ 개소식. 마이크론 벤처스 헨리 황 투자 디렉터는 기조연설에서 생성AI 시대,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기회는 '인프라 격차 해소'에서 나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황 디렉터는 “AI 모델의 규모는 2018년 이후 매년 10배씩 커지고 있지만, GPU(그래픽처리장치)와 CPU(중앙처리장치)의 성능 향상은 18개월마다 두 배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메모리와 네트워크 등 저장·전송 인프라의 성장 속도는 연 1.2배 수준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반면, AI 모델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연산량은 18개월마다 35배씩 급증하고 있어 성능 수요와 공급 간의 간극은 더욱 커지고 있다.에너지 효율 면에서도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는 와트당 성능 지표가 정체 상태에 이르렀다. 이는 AI 성장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황 디렉터는 “AI는 극단적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인프라는 그것을 뒷받침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 불균형을 해결하는 것이 반도체 기술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날 행사에는 황 디렉터를 비롯해 아룬 라만 엔비디아 AI 솔루션 설계 리드, 박종세 카이스트 교수, 찬드라 셰카 디르 JP모건 체이스 AI/ML 디렉터 등이 참여해 AI 반도체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 방향을 공유했다.행사를 주관한 한미 AI 반도체 혁신센터(K-ASIC)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으로 지난 2023년 9월 실리콘밸리 산호세에 설립됐다. 국내 반도체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돕고, AI 반도체 분야에서의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것이 목표다.황 디렉터가 소속된 마이크론 벤처스는 총 3억 달러(약 4,258억 원)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며, 차세대 컴퓨팅 인프라와 AI·머신러닝 기반 솔루션을 개발하는 딥테크 초기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황 디렉터의 발표 내용을 토대로 미래 AI 시대를 이끌 5가지 첨단 반도체 기술 트렌드와 투자 포인트를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