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일(9일, 현지시각) 미 증시는 마이크론의 실적 전망 하향 조정이 나스닥의 하락세를 부추긴 가운데 주요 지수가 모두 하락 마감했다. (다우 -0.18%, 나스닥 -1.19%, S&P500 -0.42%, 러셀2000 -1.46%)우크라이나를 지나는 러시아의 원유 공급 중단 소식도 악재로 작용했다. 시장의 모든 포커스가 인플레이션 데이터에 맞춰진 가운데 원유 공급 중단으로 인한 유가 급등세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했다. 달러와 국채금리는 상승했다. 수요일(10일, 현지시각) 증시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피크아웃 가능성에 주목하며 상승 출발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선물은 0.20%, S&P500 선물은 0.22%, 나스닥 선물은 0.25% 상승 출발했다.월요일(8일, 현지시각) 발표된 뉴욕 연은의 인플레이션 기대지수가 빠르게 하락하며 인플레이션의 정점 가능성을 보여준 가운데 7월 CPI 역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헤드라인 지표는 연간 9.1%에서 8.7%로 소폭 둔화할 것으로 보이지만 전월 대비 물가는 1.3%에서 0.2%로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연준의 긴축 기조에 대한 단서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되면서 시장의 변동성은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 데이터에 따라 투자심리가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크레이그 얼람(Craig Erlam) 오안다 수석시장분석가는 블룸버그를 통해 "오늘 인플레이션 수치가 남은 한 달을 좌우할 것."이라며 "예상보다 낮은 수치는 시장에 강력한 순풍으로 작용하겠지만 만일 6월의 수치를 넘는 부분이 나온다면 연준의 75~100bp 금리인상 가능성이 대두돼 위험자산의 반전이 나타날 것."이라 경고했다.시장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연준의 긴축 기조에 집중하고 있지만 글로벌 정세도 불안하다는 평이다. 유럽의 에너지 위기는 독일 라인강이 가뭄으로 메말라 주요 상품 및 원유를 수송하는 선박의 발이 묶이면서 더 악화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디젤에서 석탄에 이르기까지 모든 상품을 운반하는 바지선이 8월 12일(현지시각)부터 독일의 주요 경유지인 라인강을 통과하지 못할 것이란 분석이다. 영국 역시 올해 겨울 날씨가 추워질 경우 가스 부족으로 산업망의 조직적인 정전에 대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테슬라(TSLA)의 일론 머스크 최고 경영자는 트위터를 인수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69억달러의 테슬라 주식을 매도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트위터 인수가 철회될 경우 다시 테슬라 주식을 재매입하겠다고 밝혀 테슬라는 시장 전 거래에서 2.7%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