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미국 경제는 완전히 회복된 걸까요? 지금 미국에선 여행, 집 꾸미기 열풍이 불면서 소규모 사업장을 창업하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 미국 위치 기반 정보 플랫폼 옐프(Yelp)는 29일(현지시각) 발표한 자료를 통해 올해 플랫폼에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 목록은 2022년 기록한 사상 최고치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죠. 데이터에 따르면 올 1월부터 7월까지 7개월 동안 거의 48만4000개의 사업장이 플랫폼에 등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약 38만9000곳에서 약 25% 증가한 수치입니다. 2019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46%나 증가했죠. 이때 모든 카테고리에서 개업이 증가한 점이 눈길을 끕니다. 여행, 홈서비스의 성장은 두드러지죠. 호텔 및 여행 분야에 등록된 사업장은 39% 늘었고, 홈서비스는 37%, 자동차는 27%, 이벤트 서비스는 27%, 지역서비스는 23%, 식품 사업은 18%, 뷰티 서비스는 16%, 바 및 나이트클럽은 15%, 레스토랑은 12% 늘었습니다. 👉 소비하는 미국인들…은행 대출 조이기는 변수로홈서비스 부문은 주택 개조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사업장입니다. 옐프가 발표한 또 다른 보고서 ‘2023년 여름 주택 트렌드’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파티오덜개, 조경 설계, 데크 및 난간, 수영장 및 온수욕조 등을 집에 설치했죠. 각종 집 관리 서비스나 잔디 관리 서비스, 인조잔디 서비스도 늘었습니다. 지역적으로도 모든 주에서 신규 사업장이 늘었습니다. 로드아일랜드, 웨스트버지니아, 델라웨어, 버몬트 등 동부 지역에서 크게 늘었죠. 비주류 그룹의 창업도 두드러집니다. 성소수자(LGBTQ) 소유 기업은 33%, 흑인은 28%, 라틴계는 28% 증가하며 전국 평균 25%를 상회했습니다. 여성 소유 기업은 19%, 아시아인 소유 기업은 13% 증가했습니다. 이 이유로 회복되는 경제가 꼽힙니다. 옐프는 “경제 낙관론이 커지면서 비주류가 소유한 새로운 사업장 수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이 창업 붐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모릅니다. 미국 은행들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에 따라 기업과 가계에 대한 대출 기준을 높이고 있는 점은 장애물로 지적되죠. 지난 7월 미국 연준이 은행 대출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 3개월 동안 기업에 대한 대출 기준을 강화한 은행은 51%였습니다. 에버코어(Evercore)ISI는 악시오스에 “이 정도의 신용 기준 강화는 수십 년간 통화 긴축 주기에도 보지 못한 일”이라고 평했습니다.
Sejin Kim 2023.08.31 18:54 PDT
애플이 오는 9월 12일(한국 시간 9월 13일 오전 2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본사에서 개최되는 '스페셜 이벤트'에서 차세대 스마트폰인 아이폰 15를 공개합니다. 매년 연례 행사를 통해 새로운 아이폰 시리즈를 공개한 만큼 이번 행사에서도 신제품을 선보일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번 행사는 애플 공식 홈페이지와 애플TV를 통해 온라인 생중계됩니다. 내달 선보이는 아이폰 15는 애플이 3년 전 기기에 5G 기능을 추가한 이후 가장 큰 업데이트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업계에 따르면 아이폰15는 3가지가 달라집니다. ① 우선 가격이 인상됩니다. 아이폰15 프로는 1099달러(약 145만원)부터, 아이폰15 프로 맥스는 1199달러(약 158만원)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② 또 아이폰15 시리즈에는 USB-C 충전 포트가 추가되는데요. 애플이 2012년부터 탑재해온 자체 '라이트닝 충전 단자' 대신 안드로이드폰과 같은 USB-C형 충전단자가 지원돼 처음으로 대중적인 포트가 탑재될 예정입니다. 배터리도 전작보다 10% 이상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번째는 ③ 잠망경 카메라 렌즈입니다. 최대 5배~6배 줌을 지원합니다. 이 기능은 아이폰15 프로 맥스에서만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아이폰플레이션아이폰15 프로 맥스의 핵심 기능은 '잠망경 카메라 렌즈'입니다. 애플 전문가 밍치궈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15 프로 맥스의 출하량을 전체 아이폰15 시리즈의 35%~40%로 잡았다고 합니다. 이 렌즈를 개발, 독점 공급하는 대만의 라간(Largan)은 올해 해당 부품을 장착한 아이폰을 1500만~2000만 대 생산한 후 내년에는 3000만 대까지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합니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용 새 렌즈와 기타 개선 사항으로 인해 애플은 프로 모델의 가격을 현재 라인업에 비해 최소 100달러 이상 인상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렇게 되면 한국 출시가는 190만원(128GB)~280만원(1TB) 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아이폰플레이션(아이폰+인플레이션)'인 셈입니다. 아이폰15 라인업은 몇 주 후에 출시될 예정이며, 애플은 9월 15일부터 사전 주문을 받고 일주일 뒤인 9월 22일부터 판매를 시작할 것입니다. 아이폰15는 미국 등 1차 출시국부터 순차 판매되며 국내에는 10월 이후 판매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기림 2023.08.30 04:55 PDT
인공지능(AI)과 스마트 기술이 발전하면서 '뷰티 테크' 분야도 진화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형 뷰티 카테고리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요. 지난 26일(현지시간) 디인포메이션은 로레알, 뉴트로지나와 같은 대기업과 패럴렐 헬스(Parallel Health), 뮤추얼(Mutual)과 같은 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추진하면서 스마트 기기가 고객의 신체 화학을 스캔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상품을 추천하는 등 고도로 맞춤화된 홈 뷰티를 선보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기업들은 피부와 관련한 AI 기술이 적용된 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는데요. 뉴질랜드 기반의 스마트뷰티 회사 뮤추얼은 퀴즈를 통한 진단으로 맞춤형 트리트먼트 크림을 제공하는가 하면, 패럴렐 헬스는 면봉으로 채취한 고객의 피부 샘플에 따라 맞춤형 클렌저와 세럼, 보습제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시세이도의 경우 박테리아를 피부에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고, 뉴트로지나는 주문형 3D 프린팅 피부 보충제(Nourished x Neutrogena Skin360) 스킨스택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뷰티 브랜드, 기술 기업과 협업 계속될 것"메이크업도 개인 맞춤형 제품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디사이퍼(Dcypher)는 피부 톤 스캔과 알고리즘을 사용해 맞춤형 파운데이션 색상을 설정하는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YSL뷰티는 증강현실을 활용, 눈썹 모양을 추천하고, 휴대용 전자 메이크업 애플리케이터로 눈썹 모양을 만들어주는 '브로우 매직'을 개발해 연말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의 '배스봇(Bathbot)'도 주목받고 있는데요. 입욕제 제조 서비스입니다. 헤드셋이 사람의 감정 상태를 파악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향과 색상을 추천하는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이 장치는 2022년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또 휴대전화 카메라와 조명 거울을 통해 피부 표면 변화를 진단하고, 센서를 활용해 피부 수분과 탄력을 측정, 인공지능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화장품을 처방하는 맞춤형 서비스 등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뷰티테크 기업들이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술 기업과 뷰티 브랜드 간의 협업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권순우 2023.08.29 18:02 PDT
"내 기사를 허락없이 긁어가지 말라"데이터 주권을 되찾으려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챗GPT 등 생성AI 기업들과 소셜미디어 기업들은 자사 서비스를 개선하고 운영하는데, 사용자의 데이터를 활용한다. 생성AI 서비스의 기반인 대형언어모델(LLM)은 시스템을 훈련할 때 저작권이 있는 데이터를 훈련에 활용한다. 인간의 언어 패턴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쿼리(질문)에 응답할 수 있으려면 실제 인간이 쓰는 데이터로 훈련하는 게 필수인 탓. 소셜미디어(SNS)는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해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 이를 구독과 광고 등으로 연결해 수익을 낸다. 이에 기술 기업들이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저작권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이 일환에서 알고리즘과 인공지능(AI)의 추적을 제한하거나, 제재하려는 ‘조용한 혁명’이 시작되고 있다. 실제 언론사, 콘텐츠 보유 기업들은 AI에 자사 콘텐츠 공급을 제한했다. 유럽에서는 SNS의 알고리즘에 대한 규제가 시행됐다.
Sejin Kim 2023.08.28 15:31 PDT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등장하는 범용 언어 번역기 ‘바벨 피쉬(Babel Fish)’가 현실화할까?’메타가 22일(현지시각) 최대 100개 언어 번역 및 ‘전사(transcript)’를 수행할 수 있는 다국어 멀티모달(Multi-Modal, 다중모드) AI 모델 ‘심리스M4T(SeamlessM4T)’를 선보였다. 오픈AI가 개발한 모델 ‘위스퍼(Whisper V2)’보다 음성-음성 번역(speech-to-speech translation), 음성-텍스트 변환(speech-to-text) 작업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는 게 메타 측 설명이다. 메타는 이 모델과 함께 총 27만 시간 분량의 음성 및 텍스트로 이뤄진 멀티모달 번역 데이터 세트 ‘심리스얼라인(SeamlessAlign)’도 함께 공개(CC BY-NC 4.0)했다. 심리스얼라인은 현재까지 오픈소스로 공개된 비상업용 데이터 세트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AI 업계에서는 심리스M4T의 등장으로 언어의 장벽이 더 빠르게 허물어질 수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박원익 2023.08.22 15:17 PDT
생성 인공지능(AI)이 글로벌 일자리 지형을 바꾸고 있다. AI로 업무가 자동화되고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더 이상 필요가 없어지는 직업이 생기고 있는 것. 이에 일자리를 위협받는 근로자와 업무 생산성을 높이려는 기업 간 갈등도 커지는 추세다. 할리우드 콘텐츠 제작진의 파업은 대표적 사례다. 그럼 생성AI는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기 때문에 막아야 할까? 복수 연구에서는 생성AI로 새로이 직업이 생길 수 있다고 본다. 대표적인 분야가 의료, 공학, 친환경에너지 등이다. 다만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기적으로 실직하는 근로자들을 위한 재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문도 나온다.
Sejin Kim 2023.08.22 01:34 PDT
2000년대 이후 출생한 Z세대가 투자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밀레니얼세대(1981~2000년 출생자)와 함께 Z세대의 투자 성향은 X세대(1965~1980년 출생자)와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죠.우선 Z세대는 밀레니얼세대 및 X세대보다 퇴직연금에 더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6월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 2분기 미국의 대표적인 은퇴플랜인 401(k)에 납입된 금액이 전체적으로 2.2% 줄었습니다. 하지만 Z세대에게서는 10.2%, 밀레니얼 세대에서는 11% 증가했죠. Z세대 참여자 중 2분기 납입금을 높인 비중은 19.3%였으며 줄인 비중은 2.6%였습니다. 밀레니얼세대도 11%가 납입금을 늘리고 2.6%가 줄였죠. 반면 X세대는 9.7%만이 납입금을 늘렸습니다.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는 X세대와 달리 암호화폐 투자 비율도 높습니다. 미국 금융산업규제국(FINRA), CFA연구소(CFA Institute) 연구에 따르면 Z세대 투자자 중 절반 이상(55%)이 암호화폐에 투자했으며, 41%는 개별 주식에, 35%가 뮤추얼펀드에 투자했습니다. 밀레니얼세대에서는 57%가 암호화폐를, 38%가 개별 주식을, 43%가 뮤추얼펀드에 투자했다고 답했죠. X세대는 암호화폐를 소유한 비중이 39%로 가장 낮았습니다. 반면 개별주식은 43%, 뮤추얼펀드는 4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죠. 👉 금융 정보 어디서 얻나? ‘SNS+상담’그럼 MZ세대는 투자 및 금융 정보를 주로 어디서 접할까요? 여기서도 변화가 감지됩니다. Z세대 투자자의 48%, 밀레니얼세대의 42%가 소셜미디어(SNS)에서 정보를 얻습니다. 반면 X세대는 26%만이 SNS에서 정보를 얻죠.스스로 키워드를 인터넷에서 검색하거나 웹사이트를 참조하는 비중은 X세대가 53%로 제일 높았습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49%가 Z세대는 47%였죠. 눈에 띄는 점은 Z세대는 부모와 친척 등 조언을 적극적으로 참조한다는 점입니다. Z세대의 45%가 이들의 조언을 참조한다고 밝혔습니다. 밀레니얼세대 28%와 X세대 27%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입니다. 투자 시장에 새롭게 진입한 MZ세대들이 기존과 다른 투자 습관을 보이면서 금융 상품, 플랫폼 등을 재편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게리 월시(Gerri Walsh) FINRA 회장은 “Z세대는 모바일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정보 소스를 참조하며 적극적으로 금융시장에 진출하고 있다”면서 “이들의 투자 결정을 이해하고 그러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교육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Sejin Kim 2023.08.17 18:19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