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구글이 AI 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클라우드 시장에서 아마존을 넘어설 수 있다고 자신했다. 인공지능(AI) 기술이 비즈니스를 역전시킬 수 있는 키워드라는 것이다. 토마스 쿠리안(Thomas Kurian)구글 클라우드 CEO는 지난 8월 30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모스코니 센터에서 열린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Google Cloud Next)’ 컨퍼런스에서 더밀크와 만나 “LG를 비롯한 다양한 한국 고객이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해 혜택을 누리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더밀크는 쿠리안 CEO와의 비공개 Q&A 세션에 단독으로 참여, 한국 시장과 구글의 전략에 관해 질문했다. 기능, 개방성, 안전성 면에서 타사의 AI 개발 플랫폼은 구글의 경쟁 상대가 되지 않는다는 게 쿠리안 CEO의 주장이다. 그는 주장의 근거로 구글이 가진 고성능 대규모 언어 모델(LLM), AI가 생성한 이미지에 ‘디지털 워터마크(digital watermark)’를 삽입하는 기능 등을 들었다. 한국 시장의 경우 AWS의 시장점유율이 62%(2021년, 공정거래위원회)로 글로벌 평균보다 높고, 아마존 역시 AI 개발 플랫폼 ‘베드록(Bedrock)’, ‘세이지메이커(Sagemaker)’를 보유하고 있지만, 버텍스AI로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다는 취지의 답변이었다. 구글은 버텍스AI를 비롯한 생성형 AI 플랫폼 및 기술을 앞세워 클라우드 시장 판도를 뒤흔드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구글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버텍스AI 플랫폼 내 생성형 AI 프로젝트 수가 150배 급증했다. 생성형 AI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스타트업) 70%가 구글 클라우드 고객이라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시장 점유율, 매출 추이도 긍정적이다. 구글 클라우드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꾸준히 늘어 2023년 2분기 역대 최고치(11%)에 도달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올해 1분기 사상 처음 흑자로 전환한 데 이어 2분기에도 흑자를 달성했다. 토마스 쿠리안 CEO가 그리는 AI 및 클라우드 산업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Q&A 세션 일문일답
박원익 2023.09.02 16:18 PDT
애플이 오는 9월 12일(한국 시간 9월 13일 오전 2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본사에서 개최되는 '스페셜 이벤트'에서 차세대 스마트폰인 아이폰 15를 공개합니다. 매년 연례 행사를 통해 새로운 아이폰 시리즈를 공개한 만큼 이번 행사에서도 신제품을 선보일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번 행사는 애플 공식 홈페이지와 애플TV를 통해 온라인 생중계됩니다. 내달 선보이는 아이폰 15는 애플이 3년 전 기기에 5G 기능을 추가한 이후 가장 큰 업데이트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업계에 따르면 아이폰15는 3가지가 달라집니다. ① 우선 가격이 인상됩니다. 아이폰15 프로는 1099달러(약 145만원)부터, 아이폰15 프로 맥스는 1199달러(약 158만원)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② 또 아이폰15 시리즈에는 USB-C 충전 포트가 추가되는데요. 애플이 2012년부터 탑재해온 자체 '라이트닝 충전 단자' 대신 안드로이드폰과 같은 USB-C형 충전단자가 지원돼 처음으로 대중적인 포트가 탑재될 예정입니다. 배터리도 전작보다 10% 이상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번째는 ③ 잠망경 카메라 렌즈입니다. 최대 5배~6배 줌을 지원합니다. 이 기능은 아이폰15 프로 맥스에서만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아이폰플레이션아이폰15 프로 맥스의 핵심 기능은 '잠망경 카메라 렌즈'입니다. 애플 전문가 밍치궈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15 프로 맥스의 출하량을 전체 아이폰15 시리즈의 35%~40%로 잡았다고 합니다. 이 렌즈를 개발, 독점 공급하는 대만의 라간(Largan)은 올해 해당 부품을 장착한 아이폰을 1500만~2000만 대 생산한 후 내년에는 3000만 대까지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합니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용 새 렌즈와 기타 개선 사항으로 인해 애플은 프로 모델의 가격을 현재 라인업에 비해 최소 100달러 이상 인상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렇게 되면 한국 출시가는 190만원(128GB)~280만원(1TB) 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아이폰플레이션(아이폰+인플레이션)'인 셈입니다. 아이폰15 라인업은 몇 주 후에 출시될 예정이며, 애플은 9월 15일부터 사전 주문을 받고 일주일 뒤인 9월 22일부터 판매를 시작할 것입니다. 아이폰15는 미국 등 1차 출시국부터 순차 판매되며 국내에는 10월 이후 판매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gilim kim 2023.08.30 04:55 PDT
미국 대형 기술 기업 직원 수가 15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 추세에 접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메타 등 5대 빅테크의 고용 흡수력이 한계에 도달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12일(현지시각) 일본경제신문(日本経済新聞, Nikkei)에 따르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지주회사), 아마존닷컴, 메타 다섯 개 기업의 직원 수를 반기별로 추적 집계한 결과 최초로 직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박원익 2023.08.15 15:09 PDT
오픈AI가 선보인 AI 챗봇 ‘챗GPT(ChatGPT)’가 사용자 방문(traffic)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픈소스 모델의 약진, 성능저하, 비용문제 등 3대 이유를 배경으로 꼽고 있다. 웹 데이터 분석 업체 ‘시밀러웹(SimilarWeb)’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오픈AI가 운영하는 챗GPT의 전 세계 월간 방문자 수(Monthly Visits Desktop & Mobile Web)는 지난 7월 15억명을 기록, 전월 대비 9.6% 감소했다. 앞서 6월 최초로 트래픽 감소(9.7%)를 경험한 후 두 달 연속 10%에 가까운 하락을 나타낸 것이다.
박원익 2023.08.14 16:06 PDT
생성AI 등장에 따른 열풍으로 빅테크 간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챗GPT를 탑재한 마이크로소프트의 빙 챗봇이 구글이 수십 년 간 잠식한 검색시장 판도에 변화를 주고 있는 것은 물론, 의료 분야를 비롯한 업계 전반의 합종연횡이 진행되고 있다.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이 힘을 합쳐 구글과 애플이 장악한 지도 앱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제 3의 디지털 지도가 탄생할지 주목된다.27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이들이 지난해 말 설립한 '오버추어 맵 파운데이션'은 오픈 앱 데이터 세트를 공개했다. 새로운 지도를 만들기 위한 데이터를 오픈소스로 제공하는 것이다.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이 데이터를 통해 개발자는 자신만의 매핑이나 내비게이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는 메타와 MS가 수집, 기증한 것으로 교통망, 행정 경계에 대한 정보는 물론, 레스토랑, 랜드마크와 같은 5900만 개의 '관심 지점'들이 기록되어 있다. MS, 메타, 아마존이 한팀을 이뤄 애플과 구글에 대항하는 디지털 서비스를 내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에서는 오픈소스 방식의 매핑이 기존 애플과 구글의 양자독점(듀오폴리) 체제에 균열을 가져올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그렇다면 왜 다시 디지털 지도 전쟁이 시작된 것일까?
권순우 2023.07.28 15:31 PDT
억만장자 투자자는 자녀에게 인공지능(AI)의 위험을 숨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활용하는 법을 가르치죠. 마크 앤드리슨(Marc Andreessen) 앤드리슨호로위츠(a16z) 공동창업자는 최근 조 로건이 진행하는 스포티파이 팟캐스트(The Joe Rogan Experience)에서 지난 2022년 말 AI 챗봇 열풍이 인 이후 8세 아들에게 챗GPT 사용법을 알려주고 활용하게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아들의 화면 사용 시간을 제한하지만 AI가 잘하는 것, AI가 잘 못하는 것, AI가 못하는 것을 바로잡는 법 등 AI의 강점을 극대화해 스스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체득하도록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때 그는 아들이 기술을 낯설어 하지 않고 오히려 질문했을 때 놀랐다고 말했죠. 그의 아들은 앤드리슨 창업자에 “AI는 컴퓨터고 우리가 여기에 질문을 하면 AI는 대답을 해준다. 또 무엇을 할 수 있나?”라고 물은 것으로 전해집니다. 앤드리슨 창업자는 “아이가 20살이 되면 AI에 대해 12년 간의 경험이 축적되는 셈”이라면서 “젊은 세대는 AI에 대해 완전히 다른 시각을 갖게 될 것이며 그들에게는 AI가 ‘완전히 정상적인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AI 투자에 적극적입니다. A16z는 챗GPT를 만든 오픈에이아이를 비롯해 10억달러 가치의 챗봇 스타트업인 캐릭터AI(Character.AI)가 최근 유치한 1억5000만달러의 펀딩라운드를 주도하기도 했습니다.👉4대 AI 기업, 업계 자율규제 협의체 설립실리콘밸리 생성AI 기업은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부작용 우려가 커지자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 힘을 합쳐 자율규제 협의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죠. 26일(현지시각) 오픈AI, 앤트로픽(Anthropic),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4개사는 ‘프런티어(선도) AI 모델의 안전하고 책임 있는 개발 보장’을 목표로 ‘프런티어 모델 포럼(Frontier Model Forum)’을 출범했습니다. 오픈AI는 MS가 투자한 챗GPT 개발사이며, 앤트로픽은 구글이 투자한 AI 기업입니다. 프런티어모델 포럼은 책임 있는 AI 모델 개발과 안전성 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평가 방안 도입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또 AI 기술과 영향력, 한계 등에 관한 대중교육을 진행하고 정책입안자 및 학계 등과 AI 관련 지식을 공유하면서 사회적 우려를 덜려고 하고 있습니다. 기후 문제와 암 치료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앱 개발도 지원합니다. 이때 협의체는 가입 자격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가장 발전된 대규모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AI 기술의 안전에 헌신하는 기업에만 자격을 부여한다는 게 이유입니다. 이는 미국 의회 상원에서 AI 규제와 활용 등에 대한 포괄적 입법 패키지를 추진 중인 가운데 나왔습니다. 지난 21일 구글과 MS 등 7개 주요 기업은 AI로 만든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넣는 등 안전 조치를 자발적으로 취하기로 했죠. 마켓워치에 따르면 MS와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최근 2분기 실적발표에서 인공지능을 각각 73번, 90번 언급하면서 AI 올인 전략을 다시금 재확인했습니다.
Sejin Kim 2023.07.27 15:38 PDT
오픈에이아이(OpenAI), 구글(Google), 메타(Meta),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의 주요 인공지능(AI) 기업이 미국 행정부와 AI 위험을 자율적으로 규제하기로 전격 합의(commitments)했다. 기존 AI 부작용으로 지적되고 있는 허위 정보에 대한 보호장치를 자발적으로 마련하고, 정부가 규제안을 마련할 때 기업들이 적극 협조한다는 게 골자다. 생성AI 산업을 이끄는 미국의 주요 기업이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반면, 강제성은 없어 반쪽짜리 합의안이란 해석도 나온다.
Sejin Kim 2023.07.21 20:24 PDT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프리미엄 컨텐츠 ‘위클리 AI 브리핑(Weekly AI Briefing)’을 시작합니다. 위클리 AI 브리핑은 한 주 동안 쏟아지는 AI 뉴스 홍수 속에서 놓치지 않고 꼭 챙겨봐야 할 핵심 정보만 선별해 전해드립니다. 핵심 요약으로 독자분들이 시간을 아낄 수 있도록 돕고, 실리콘밸리+실리콘앨리 현장에서 취재하는 더밀크만의 인사이트를 한 스푼 추가했다는 점이 차별화 포인트입니다. 그럼 출발해 볼까요?
박원익 2023.07.21 17:02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