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AI 에이전트 웨이브’아마존이 웹 브라우저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AI 모델 ‘노바 액트(Nova Act)’를 출시했다. 지난해 말 샌프란시스코에 새롭게 설립한 ‘아마존 AGI SF 연구소(Lab)’에서 선보인 첫 결과물이다. 아마존의 가세로 오픈AI, 앤트로픽, 구글이 주도하던 AI 에이전트(agent, 대리인) 생태계가 더 빠르게 확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에이전트는 사람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일컫는다.
박원익 2025.03.31 14:08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메타가 자체 개발한 AI 훈련용 칩을 테스트하고 있다.”로이터는 11일(현지시각)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대만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 TSMC와 손잡고 칩을 생산, 내부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는 소식입니다. 메타는 2023년부터 고성능 AI 칩 ‘MTIA’를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는데, 이 MTIA의 최신 버전을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메타 뿐 아닙니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 구글, 애플 등 빅테크가 일제히 자체 AI 칩을 개발 중입니다. 엔비디아 칩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의도입니다. 메타는 지난해 엔비디아의 고성능 GPU H100을 가장 많이 구매한 기업 중 하나였습니다. 눈에 띄는 성과도 있습니다. 애플이 지난 5일 발표한 ‘M3 울트라’ 칩 탑재 맥 스튜디오를 활용하면 엔비디아 칩을 쓰지 않고도 딥시크 R1 같은 고사양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MS는 가공할 잠재력을 가진 양자 칩을 공개했습니다. 엔비디아의 독주를 무너뜨리려는 견제가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는 양상입니다.
박원익 2025.03.12 13:01 PDT
2003년 인터넷 전화 시장을 개척한 스카이프(Skype)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2011년 85억달러에 스카이프를 인수한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가 서비스 종료를 공식화했다.MS는 28일(현지시각) 회사 블로그를 통해 오는 5월 5일 자로 스카이프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스카이프는 인터넷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며 2000년대 전 세계인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던 서비스다. 최대 사용자 수가 3억 명에 달했을 정도로 인기를 누렸지만, 다양한 인터넷 기반 메시징, 음성 통화, 화상 회의 서비스가 등장하며 2023년 기준 사용자 수가 360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박원익 2025.02.28 15:49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오늘부터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Gemini Code Assist)’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순다 피차이 구글 CEO는 25일(현지시각) X(옛 트위터)에 “코딩(coding,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을 위해 미세 조정된(fine-tuned) 제미나이 2.0은 월 18만 건의 자동 ‘코드 완성(code completions)’을 지원한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개인 개발자를 위해 AI 기반 코딩 도구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밝힌 것입니다. 18만 건은 한 달에 2000건의 무료 코드 완성을 제공하는 마이크로소프트 ‘깃허브 코파일럿(GitHub Copilot)’의 90배에 달하는 놀라운 숫자입니다. 전문 개발자뿐 아니라 누구나 AI를 활용해 코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박원익 2025.02.26 09:34 PDT
아이폰 판매의 부진을 예고한 월가의 전망이 옳았다. 애플은 30일(현지시각) 장 마감 후 공개한 2025 회계연도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전반적으로 예상을 상회하는 우수한 실적을 공개했다. 하지만 애플 사업의 핵심인 아이폰 매출은 2년 만에 최대 규모의 어닝 쇼크를 기록하며 시장에 실망감을 안겼다. 애플의 전체 매출과 이익은 견고했다. 매출은 1243억 달러로 월가의 예상치였던 1241억 2000만 달러를 상회했고 주당순이익(EPS) 역시 2.40달러로 예상치였던 2.35달러를 상회했다. 문제는 아이폰에 있었다. 중국 시장에서 무려 11.1%의 매출 감소를 기록하며 아이폰 매출이 691억 4000만 달러로 추정치였던 710억 3000만 달러를 크게 빗나갔다. 서비스 부문과 맥-아이패드 컴퓨터 부문의 매출 증가가 전체 실적을 견인했지만 핵심 사업 부문이자 핵심 시장인 아이폰의 중국 매출 부진에 애플의 주가는 실적 발표 직후 1.2%가량 하락했다. 하지만 팀 쿡 애플 CEO가 컨퍼런스콜을 통해 3분기 긍정적인 실적 전망을 제시하며 주가는 상승 반전했다.
크리스 정 2025.01.30 18:40 PDT
1. 자산시장 동향뉴욕증시는 예상보다 견고한 고용 보고서로 연준의 금리인하 사이클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메가캡 기업들의 하락세가 심화되며 하락 출발했으나 이후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며 혼조세로 마감. 최근 증시를 이끌던 엔비디아(NVDA)를 비롯해 팔란티어(PLTR)와 같은 AI 수혜주들이 각각 3% 이상 하락하며 투자심리 약세에 일조.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80%로 상승, 2023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하며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에 대한 의구심이 확대. 미 최대 소매업체 중 하나인 메이시스(M)는 현재 분기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지난 연말 시즌에 대한 기대를 너무 낙관적으로 가졌음을 경고. 2.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어닝시즌이 강세장 운명 좌우한다 15일(현지시각)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4분기 어닝시즌이 시작. JP모건(JPM)을 비롯해 씨티그룹(C)과 골드만삭스(GS) 등의 기업이 실적을 보고. 같은 날 발표되는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가 4개월 연속 0.3% 상승 후, 0.2%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 다만 연간수치는 전년 대비 3.3%로 3개월 전과 동일해 물가 하락 추세가 사실상 멈췄음을 시사할 것으로 전망. 12월 고용 보고서가 예상보다 훨씬 높은 25만 명의 신규고용을 보고한 가운데 JP모건은 연준이 6월이나 되어야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을 조정. 🔑 고용 보고서 이후 월가 투자은행들의 컨센서스가 올해 3번 인하에서 2번으로 좁혀지고 있음. JP모건 역시 6월과 9월 두 번의 금리인하로 전망을 변경하며 3월 연준의 금리인하 조건으로 '매우 나쁜 고용 보고서'를 요구하고 있어 고금리의 장기화 우려가 확대 중. 3. 골드만삭스, "올해 금리인하 두 번으로 하향...어닝시즌은 견고할 것"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역시 올해 연준의 금리인하 전망을 두 번으로 하향 조정하며 6월과 12월 인하를 전망. 2026년에도 한 번 더 인하하며 최종 금리 전망을 3.5~3.75%로 제시. 골드만은 기준금리 예측을 시장 가격보다 다소 비둘기파적으로 전망했지만 미 경제 데이터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인하 시점에 대한 확신을 가지기 어렵다"고 강조. 골드만은 트럼프의 관세 인상에 대해 "불확실하다"고 평가하면서도 트럼프의 재정 및 이민 정책이 인플레이션에는 눈에 띄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 이번주부터 시작되는 4분기 어닝시즌은 S&P500이 전년 대비 8%의 이익으로 전년 대비 8% 성장하고 이익 마진이 31bp 확대되는 견고한 시즌을 전망. 다만 시장의 기대가 높아 "더 높은 기준을 감안할때 최근 분기보가 비트의 규모가 작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고. 🔑 골드만은 섹터로는 통신 서비스 및 기술 부문이 가장 강력한 수익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금융 부문의 수익 역시 13% 성장할 것으로 예상. 반면 에너지는 유가 하락에 가장 큰 폭의 수익 감소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 4. 주도권 잃고있는 애플...AI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에 밀린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의 아이폰 판매량은 부진한 업그레이드 주기와 중국에서의 경쟁 심화로 지난 4분기에 전년 대비 5% 감소하며 시장의 예상을 하회.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아이폰의 시장 점유율은 2024년에 전 세계적으로 18%로 1포인트 하락. 판매 역시 전 세계적으로 4% 성장한 지난 1년 동안 매출이 2% 감소. 인터네셔널 데이터에 분기별 데이터도 4분기 아이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4.1% 감소한 반면 전체 산업은 2.4% 성장했다고 발표.IDC는 애플과 삼성전자가 "샤오미와 비보가 이끄는 중국 제조업체에 밀렸다"고 평가하며 중국의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이 5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발표.🔑 중국 브랜드가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사이 애플의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는 미국에서 큰 기대를 받지 못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정부 견제로 출시조차 하지 못하고 있음. 중국산 브랜드가 모두 자체 AI로 시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애플이 AI 스마트폰 시장에서 주도권을 잃고 있다는 것은 사실. 월가의 부정적 의견도 여기에 기인.5. 개별주 현황 및 월가 투자의견 퀀텀 컴퓨팅(QUBT): 퀀텀 컴퓨팅을 비롯해 리게팅 컴퓨팅(RGTI)과 D-웨이브 퀀텀(QBTS)와 같은 양자 컴퓨팅 기업들은 마크 주커버그, 메타플랫폼 최고경영자(CEO)가 젠슨 황의 발언에 이어 "양자 컴퓨팅이 유용한 패러다임이 되기까지 적어도 10년은 걸릴 것"이라 발언하며 25% 이상 폭락. 크립토 주식: 비트코인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크립토 관련 주식들은 비트코인이 한때 9만 달러로 하락하며 급락했으나 이후 소폭 회복세를 보이며 손실을 일부 만회. 코인베이스(COIN)과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은 개장 전 거래에서 각각 4% 이상 하락했으나 이후 손실을 일부 만회. 룰루레몬(LULU): 고급 스포츠 의류 소매업체 룰루레몬은 지난 연말 쇼핑 업데이트를 통해 4분기 매출 및 주당순이익에 대한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강력한 수요를 시사. 또한 지난 가이던스를 통해 축소될것으로 전망했던 총마진도 전년 대비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며 3% 이상 상승. 애버크롬비 앤 피치(ANF): 의류 소매업체 애버크롬비 앤 피치는 연말 쇼핑 업데이트를 통해 4분기 순매출이 이전의 가이던스였던 5~7% 성장보다 높은 7~8%를 제시했으나 시장의 기대에는 못 미치며 15%넘게 급락. ***더밀크100 기업 테슬라(TSLA): 모건스탠리는 테슬라가 향후 인공지능으로 작동하는 자율주행차나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주가가 장기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유지하고 목표가를 주당 430달러로 상향 조정. 모건스탠리는 테슬라가 로봇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반복적이고 높은 마진의 수익을 계속 창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 강세 시나리오의 경우 2040년까지 1200만 대의 차량이 운행될 경우를 산정하며 주당 800달러를 제시. 반면 더 엄격한 규제와 더딘 도입 등의 역풍이 작용할 경우의 약세 시나리오는 주당 200달러 제시.
크리스 정 2025.01.13 16:49 PDT
1. 자산시장 동향뉴욕증시는 지난 24일(현지시각) S&P500이 1.1%가 오르며 1974년 이후 최고의 크리스마스 이브 실적을 기록한 이후 소폭 하락하며 마감. S&P500은 이번 주 1.8%가 오르고 나스닥은 2.3%, 다우지수는 1%가 오르는 등 산타클로스 랠리의 시작 가능성을 시사. 산타클로스 랠리는 올해 마지막 5 거래일과 1월의 첫 2 거래일 동안 나타나는 단기 강세 추세로 1950년 이후 S&P500은 평균 약 1.3%의 수익률을 창출한바 있음. 2. 지속적으로 실업수당을 청구하는 실업자 수는 3년 만에 최고치로 신규 실업수당 청구는 21만 9000건으로 집계되며 월가 추정치였던 22만 5000건을 하회하며 견고한 노동시장이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다만 실업수당을 지속적으로 청구하는 장기 실업자들의 수는 191만 건으로 급증하며 2021년 11월 13일 이후 3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증가.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실직자들의 실업 기간은 꾸준히 증가하며 27주 이상 실업한 실직자가 11월 166만 명으로 2021년 1월 이후 최대 수준으로 증가.주 기준으로는 뉴저지와 커넷티컷과 캘리포니아가 가장 큰 증가를 기록한 반면 플로리다와 뉴욕, 웨스트버지니아는 감소세.🔑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이 연준의 정책 스탠스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둔화되지는 않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실업 수당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고용시장이 결국 천천히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 고금리가 지속되고 소비지출이 둔화되면 노동시장이 빠르게 악화될 가능성도...3. 마스터카드, 연말연시 매출 작년 대비 3.8% 증가 발표 마스터카드 스펜딩펄스에 따르면 미 쇼핑객들이 올해 연말 쇼핑시즌에 지출을 가속화하며 11월 1일부터 두 달간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고 발표. 쇼핑객들은 각종 프로모션에서 동기를 부여받으며 이전과 비교해 확실히 가치 위주의 소비를 하는 추세를 보여주면서 매출의 약 10%가 크리스마스 전 마지막 5일 동안 기록. 온라인 쇼핑이 이전과 비교해 확실히 인기를 끌었으며 이로 인해 전자상거래 매출이 전년 대비 6.7% 증가한 반면 매장 구매는 2.9% 증가. 주목할 만한 점은 전자상거래 주요 구매 목록으로 의류가 대폭 증가한 추세를 보여 향후 리테일러들이 이전보다 더 많은 반품을 받을 것으로 전망. 🔑 이번 연휴 시즌의 견고한 소비지출은 건강한 노동시장과 가계 자산의 증가에 힘입어 나타나고 있어 미 소비자들이 여전히 지출 여력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음. 다만 소비자들이 이전보다 확연히 프로모션과 가치 소비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소비 추세가 상당히 방어적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크리스 정 2024.12.26 14:45 PDT
‘전 세계에서 가장 막강한 AI 경쟁력을 가진 국가는 어느 나라일까? 주요 국가들의 AI 경쟁력 순위는 어떻게 바뀌고 있을까?’스탠퍼드대 인간 중심 AI 연구소(HAI)가 지난 21일(현지시각) 발표한 ‘글로벌 AI 파워 랭킹’에서 최신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다. 스탠퍼드 HAI가 연구·개발(R&D), 경제, 교육, 정책, 인프라 등 8개 분야 42개 지표를 활용해 집계한 ‘글로벌 AI 활력 도구(Global AI Vibrancy Tool) 2024’에 따르면 AI 최고 선도국은 미국이었다. 2~4위는 중국, 영국, 인도가 차지했고, 한국은 7위에 랭크됐다. 이 순위에 따르면 자체 AI 기술 능력과 인재 양성을 중시하는 '소버린AI'를 강조한 국가들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글로벌 AI 활력 도구는 AI 연구 성과, AI 관련 경제 활동 수준, 기본 AI 인프라 지표를 포함, 어느 국가가 AI를 선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포괄적이고 정량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시계열로 국가별 AI 생태계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볼 수 있고, 국가별로 뛰어난 부분 및 뒤처진 부분도 확인할 수 있다. 네스토르 마슬레이 프로젝트 책임자는 “AI는 전 세계 국가들의 국가적 관심사로 부상했다”며 “어느 국가가 AI를 선도하는지에 대한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했다.
박원익 2024.11.28 14:07 PDT
“받아들이세요(Let that sink in)”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의 승리가 확실시된 6일(현지시각) 새벽,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X(옛 트위터)에 올린 글이다. 미국 대통령 집무실을 배경으로 싱크대(sink, 세면대)를 들고 웃고 있는 본인의 이미지와 함께였다. 머스크의 게시물은 그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참모로서 백악관에서 활동한다는 걸 암시하는 의미로 해석됐다. 이 표현은 “찬찬히 생각해 보라”는 뜻에서 놀라운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혹은 책임자가 새로운 정책을 발표하며 “(변화를) 받아들이라, 이해해 달라”고 설득하기 위해 사용하기 때문이다. 머스크는 2022년 10월 트위터 인수를 확정하며 세면대를 들고 트위터 본사를 직접 방문한 바 있다. 동사로 사용된 단어 sink를 강조하기 위해 세면대를 가져온 사건은 밈(meme)이 됐고, 실제로 트위터는 회사명 변경, 대량 해고, 서비스 개편과 같은 큰 변화를 겪었다.
박원익 2024.11.06 14:18 PDT
전진수 전 SK텔레콤 부사장은 10월 24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트렌드쇼 2025’에서 “2025년에는 비주얼(visual, 시각적) 에이전트를 보게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생성 AI 기술 기반으로 작동하는 AI 에이전트와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 기술이 융합되며 영화 아이언맨에 등장하는 AI 비서 ‘자비스’처럼 눈으로 보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똑똑한 AI 비서가 등장할 것이란 관측이다. 전 부사장은 2022년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 산하에 ‘슈퍼랩스’를 창업, AI 버추얼 휴먼(가상 인간), 네비어판 AI 화가 ‘라스코 AI’를 선보인 경험이 있다. SK텔레콤 재직 시에는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렌드’ 개발을 진두지휘했고, 그 이전에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서 12년 동안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기술 전문가다.
박원익 2024.11.03 10:59 PDT
애플(AAPL)이 견고한 4분기 회계연도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유럽에서의 세금 문제로 인한 순이익의 감소와 중국에서의 매출 둔화 우려로 장 마감 후 하락했다. 애플의 4분기 실적은 전반적으로 양호했다. 조정된 주당순이익(Non-GAAP EPS)은 주당 1.64달러로 월가 예상치였던 1.60달러를 소폭 상회했다. 하지만 일회성 비용인 유럽에서의 세금 문제로 인한 손실을 반영한 일반 회계방식(GAAP)의 EPS는 97센트로 월가 예상을 39%나 하회했다. 애플이 일반 회계기준에서 어닝이 예상을 하회한 적은 2022년 4분기 이후 처음이다. 매출은 949억 달러로 전년 대비 6.1%가 증가하며 월가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다. 우려가 컸던 아이폰 매출은 462억 2000만 달러로 아이폰15과 아이폰16의 초기 판매 호조를 반영하며 월가의 예상치였던 454억 7000만 달러를 상회했다. 아이폰 매출 역시 전년 대비 6%가 증가하며 애플 총 매출의 49%를 차지했다. 에어팟, 홈팟, 애플워치 등 기타 제품의 매출은 전년 대비 3%가 감소한 90억 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월가 추정치였던 92억 1000만 달러를 하회했다. 반면 아이패드 매출은 2023년 신제품 출시 부재에 따른 대기 수요 효과로 전년 대비 8%가 증가한 65억 9000만 달러로 가장 큰 성장을 기록했다. 맥 역시 맥북 에어 판매 호조 및 신학기 수요를 반영하며 2% 증가한 77억 4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크리스 정 2024.11.01 06:09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