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AI는 미래 기술이 아닌, 현재의 비즈니스 성패를 가르는 핵심 변수다. 특히 글로벌 경쟁 심화, 구조적 노동력 부족, 무서운 속도로 추격해 오는 중국 제조업이라는 삼중고에 직면한 한국 기업에 AX(AI Transformation, AI 전환)는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가 됐다. 이미 AI를 제조업에 발 빠르게 도입해 생산성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기업들도 등장하고 있다. 일례로 중국의 샤오미는 AI와 사물 인터넷으로 완전 자동화된 ‘다크 팩토리’에서 1초에 한 대꼴로 스마트폰을 생산한다. BYD는 AX로 제품 개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PEP)를 혁신, 지난 4월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를 처음으로 추월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문제는 여전히 많은 한국 기업이 AI를 단순히 새로운 IT 도구를 도입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점이다. AI 도입률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그 효과가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되지 않는 이유다. 성공적인 AX는 기술 도입을 넘어 비즈니스 프로세스, 조직 구조, 그리고 일하는 방식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경영 혁신’ 그 자체로 봐야 한다. AI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 전략 없이 단편적인 솔루션만 도입해서는 진정한 가치를 창출하기 어려운 것이다.
박원익 2025.08.07 16:37 PDT
“반도체에 약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각)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에는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의 오벌 오피스에서 진행된 애플의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 발표 자리에서 초강경 카드를 꺼낸 것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함께 연단에 선 애플의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앞서 발표한 5000억달러 투자에 더해 1000억달러를 추가로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총 6000억달러(약 831조원) 규모에 달하는 미국 내 투자를 통해 반도체 관세를 피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됐다. 아이폰 등 핵심 제품의 비용 구조를 뒤흔들 수 있는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미국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에 적극적으로 동참한 셈이다. 7일 0시(미국 동부 기준)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발효되는 가운데, 별도로 부과되는 반도체 품목 관세의 실제 세율이 어떻게 결정될지 업계의 귀추가 집중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산업의 대미 수출액은 106억8000만달러(약 14조8100억원)로, 전체 수출 품목 중 3위에 해당한다. 관세 압박에 애플처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미국 내 추가 투자에 내몰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전 세계 반도체 공급망은 효율성 중심의 시대를 마감, 지정학과 국가 안보가 최우선시되는 새로운 질서 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박원익 2025.08.06 18:26 PDT
“반도체와 칩(semiconductors and chips)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해 온 대로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각) CNBC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품목별 관세 발표 예정 시한에 대해 “다음주 정도(within the next week or so)”라고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대상 품목으로는 반도체와 의약품을 지목했다. 품목별 관세는 국가 간 상호관세와 별개로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다. 공급망적으로 매우 중요한 산업인 만큼 별도의 기준을 두기 위해서였다.현재 미국은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각각 25%, 50%의 품목 관세를 책정, 적용 중이다. 한미 무역 협정 타결로 한국 대상 상호관세는 오는 7일부터(현지시각) 15% 세율로 적용되는 가운데, 자동차 품목 관세는 15%로 낮추기로 합의가 됐다. 향후 미국 정부가 지정한 날로부터 자동차 관세는 현재의 25%에서 15%로 10%포인트 낮아진다.
박원익 2025.08.05 10:29 PD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한국과의 새로운 무역 합의를 전격 발표했다. 이번 합의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15%로 설정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경고했던 25%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특히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25%에서 15%로 낮춰지며 일단 봉합 수순에 들어갔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한국은 3,500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고, 1000억 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이 2주 후 워싱턴을 방문할 예정이며, 추가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무역협정에 따라 한국의 대미 투자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협정은 한국 수출산업의 불확실성을 제거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 내 조선업 진출을 포함해 반도체·에너지·기술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할 것임을 시사했다. 한국 정부에 따르면 3500억 달러 중 1500억 달러는 조선업 재건에, 나머지는 반도체 및 에너지 산업에 투입된다.이번 합의는 최근 미국이 일본, 유럽연합(EU),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과 잇따라 체결한 아시아 무역협정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것이다. 아직 말레이시아, 대만, 태국, 인도 등과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권순우 2025.07.31 02:31 PDT
“디지털 지능(digital intelligence, AI)이 생물학적 지능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AI 대부’로 불리는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제프리 힌튼 토론토대 교수는 26일(현지시각)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인공지능컨퍼런스(WAIC) 기조연설에서 “디지털 지능은 인간보다 수십억 배 빠르게 지식을 전파할 수 있다”며 AI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AI의 ‘효율성’, 생물과 달리 소멸하지 않고 복제될 수 있는 ‘불멸성’ 같은 특성을 고려하면 미래에 AI가 인간의 지능을 능가, 빠르게 확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경쟁적으로 AI 투자 및 연구를 확대하는 전 세계의 움직임은 이런 상황을 가속하고 있다. ‘호랑이 새끼’ 같은 AI가 인간을 해치지 않고 지배자가 아닌 조력자로 행동하도록 훈련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힌튼 교수는 어떻게 하면 선한 AI를 만들 수 있는지 각국이 연구하고, 이렇게 축적한 경험과 결과를 국제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와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모든 주요 AI 강국이 ‘국제 보안 네트워크’ 기관을 구축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이번 WAIC에서 ‘글로벌 AI 거버넌스(governance)’의 새로운 설계자를 자처한 중국의 구상과 궤를 같이 한다. 표면적으로 글로벌 협치를 제시한 중국은 미국 중심의 AI 헤게모니를 흔들겠다는 야심을 드러냈다. 특히 지난 23일 미국 정부가 발표한 미국 중심의 AI 정책 구상 ‘AI 액션 플랜(America's AI Action Plan)’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점이 주목을 끈다. 중국이 다자주의를 앞세운 것은 이미 기술 패권을 쥐고 있는 미국에 도전하기 위한 명분 쌓기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마치 중국 주요 기술 기업들이 첨단 AI 모델을 오픈 소스로 공개, 폐쇄형 모델을 보유한 미국 AI 기업에 도전하는 양상과 비슷하다. 미래 글로벌 질서의 근간이 될 AI의 규칙, 표준, 동맹, 핵심 가치를 누가 주도할 것인가를 둘러싼 지정학적 총력전의 서막이 열린 것이다.👉관련 기사: AI 제국주의의 부상: 컴퓨팅 파워가 그리는 새로운 세계 질서
박원익 2025.07.26 23:10 PDT
“AI 지배력(dominance)을 계속 이어가기 위한 ‘미국의 AI 액션 플랜(America's AI Action Plan)’을 발표합니다.”스리람 크리슈난(Sriram Krishnan) 백악관 AI 수석 정책 고문은 23일(현지시각) X를 통해 “핵심 주제는 AI 혁신 가속화, 미국의 AI 인프라 구축, 국제 AI 안보 주도 세 가지”라며 이같이 밝혔다. 실리콘밸리 대형 벤처캐피털(VC) 앤드리슨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의 전 총괄 파트너 출신인 크리슈난 수석은 이어 “지난 6개월 동안 데이비드 삭스 백악관 AI·암호화폐 정책 책임자,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실장 등과 함께 많은 시간과 땀을 쏟았다”며 “오픈 소스 분야에서도 미국이 주도권을 잡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이날 발표한 미국 AI 액션 플랜은 미국을 AI 분야에서 확고부동한 글로벌 기술 지배자로 만들겠다는 강력한 목표를 담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AI 정책 기조를 완전히 뒤집고, 규제 완화와 혁신 가속화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글로벌 AI 산업의 지형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액션 플랜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25년 1월 23일 서명한 행정명령 14179호 ‘미국 AI 리더십 장벽 제거(Removing Barriers to American Leadership in Artificial Intelligence)’에 따라 180일 이내 제출된 결과물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바이든 전 대통령의 AI 행정명령 14110호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 및 사용(Safe, Secure, and Trustworthy Development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을 공식적으로 폐기하며 AI가 초래할 위험 감소보다는 산업 혁신 촉진과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두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한 바 있다.AI를 글로벌 권력 균형을 재편할 혁명적 기술로 인식하고, 미국의 기술적 지배력을 확보하는 것을 국가 안보의 필수 요소로 간주하는 정책 기조가 반영된 결과다. 성장과 패권에 집중한 미국의 새로운 AI 정책은 전 세계 AI 산업의 투자, 기술 개발, 인재 흐름, 국제 협력 및 규제 환경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게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관련 기사: AI 제국주의의 부상: 컴퓨팅 파워가 그리는 새로운 세계 질서
박원익 2025.07.23 13:48 PDT
리사 수 AMD CEO는 6월 12일(현지시각) “파트너들과 함께 AI 컴퓨팅의 다음 주요 단계를 공개하게 돼 기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진행한 AMD의 신제품 출시 행사에서 차세대 AI 반도체인 ‘인스팅트 MI400(Instinct MI400)’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며 반도체가 AI 발전의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녀의 발언은 과장이 아니다. 이날 AMD 행사에는 오픈AI의 샘 알트만 CEO가 리사 수와 함께 무대에 올랐다. 최첨단 AI 모델 개발의 선두 주자인 오픈AI가 AMD와 협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한 등장이었다.AI 모델 성능 향상 및 개발 기간 단축의 핵심 자원인 AI 반도체를 확보하려면 엔비디아뿐 아니라 AMD에도 의존해야 하는 현실을 드러낸 셈이다. 고성능 엔비디아 반도체는 폭증하는 수요 때문에 공급이 달리는 상황이다. 알트만 CEO는 “(AMD가) 반도체 사양에 대해 알려줬을 때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생각했다. (양사 협력이) 놀라운 일이 될 것”이라고 AMD의 새로운 반도체를 치켜세웠다.AI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그 이면에 있는 고성능·고효율 AI 반도체의 혁신 없이는 상상하기 어렵다. AI 모델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반도체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AI 반도체는 단순히 AI 연산을 수행하는 부품을 넘어 데이터센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하드웨어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기기에서도 마찬가지다. 자율주행차의 안전한 운행 같은 강력한 AI 기능을 구현하는 온디바이스 AI 시대를 위해서도 AI 반도체는 필수적이다. 국가의 산업 경쟁력과 미래 기술 패권과도 직결되는 핵심 전략 기술로 평가된다.
박원익 2025.06.13 15:54 PDT
“AI에 대한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큰 성장 기회가 있을 것입니다.”16일(현지시각) 미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열린 ‘Tech&Toast: AI & ML’ 현장. 한미 AI 반도체 혁신센터(K-ASIC)가 주최한 이 행사의 기조연설을 맡은 헨리 황 마이크론 벤처스 투자 디렉터는 “생성형 AI 시대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기회는 인프라 격차 해소에서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모델의 규모는 2018년 이후 매년 10배씩 커지고 있지만, GPU(그래픽처리장치)와 CPU(중앙처리장치)의 성능 향상은 18개월마다 두 배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황 디렉터는 “메모리와 네트워크 등 저장·전송 인프라의 성장 속도는 연 1.2배 수준에 불과하다”며 “AI 모델을 훈련하는 데 필요한 연산량은 18개월마다 35배씩 급증하고 있어 성능 수요와 공급 간의 간극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에너지 효율 면에서도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현재는 와트당 성능 지표가 정체 상태에 이르렀다. 이는 AI 성장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황 디렉터는 “AI 수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 병목 현상 해결이 미래 반도체 기술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했다.이날 행사에는 황 디렉터를 비롯해 아룬 라만 엔비디아 AI 솔루션 설계 리드, 박종세 카이스트 교수, 찬드라 셰카 디르 JP모건 체이스 AI/ML 디렉터 등이 연사로 참여해 AI 반도체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 방향을 공유했다.한미 AI 반도체 혁신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으로 지난 2024년 9월 실리콘밸리 산호세에 설립됐다. 국내 반도체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돕고, AI 반도체 분야에서의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것이 목표다.황 디렉터가 소속된 마이크론 벤처스는 총 3억달러(약 4258억 원)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며 차세대 컴퓨팅 인프라와 AI·머신러닝 기반 솔루션을 개발하는 딥테크 초기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황 디렉터의 발표 내용을 토대로 미래 AI 시대를 이끌 5가지 첨단 반도체 기술 트렌드와 투자 포인트를 정리했다.
박원익 2025.04.17 16:58 PDT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이 글로벌 반도체 기업을 강타하고 있다. 대만, 한국, 일본 등 글로벌 첨단 반도체 핵심 공급망에 해당하는 국가에 20~30% 수준의 높은 관세를 적용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관련 기업 제품의 수요,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고, 약 60여 교역국에 징벌적 관세를 추가로 얹는 상호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중국은 34%, 대만은 32%, 대한민국은 25%, 일본은 24%, 유럽연합(EU)은 20%로 책정됐다. 기본 관세 10%는 5일부터 국가별 관세는 9일부터 적용된다.
박원익 2025.04.02 16:50 PDT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19일(현지시각) 캘리포니아주 산호세 시그니아 바이 힐튼 호텔에서 열린 GTC 2025 기자간담회에서 “엔비디아는 세계 최고의 알고리듬을 만드는 회사”라며 이같이 말했다. 물리학, 생물학, 로봇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속 컴퓨팅(accelerated computing)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엔비디아 GPU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스택 ‘CUDA’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황 CEO는 전날 기조연설에서 13개에 달하는 쿠다 전문 분야를 언급하며 모든 산업을 위한 ‘CUDA-X’를 발표했다. 기조연설에서 그는 “우리는 이제 가속 컴퓨팅의 전환점에 도달했다. CUDA가 이를 가능하게 했다”며 알고리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도 그는 엔비디아를 종합 AI 플랫폼 기업으로 재정의하며 비슷한 주장을 반복했다. 황 CEO는 “엔비디아는 유일한 AI 회사다. 클라우드용 AI, 자동차용 AI, 로봇용 AI, 엔터프라이즈용 AI를 보유하고 있다”며 “전체 인프라, 네트워킹 스위치, 스토리지(저장소)는 물론 작은 DGX 스파크부터 슈퍼 팟에 이르기까지 모든 크기와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했다.
박원익 2025.03.19 14:36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