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은 고장났다" 팔란티어, 고졸 인재 채용... AI 시대 '학위 무용론' 본격화
챗GPT 등 생성AI의 확산이 미국 고등 교육의 지형을 뒤흔들고 있다. 전통적 대학 학위의 가치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는 가운데 AI 기업들이 기존 채용 관행을 재편하려는 것. ‘간판 대학 졸업장은 곧 취업 보증수표’라는 공식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곳은 시가총액 2000억 달러(약 277조원)를 넘어선 데이터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팔란티어(Palantir)다. 최근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과 이스라엘-이란 간 전쟁 여파로 국방 기술 부문에서 팔란티어의 기술력도 재조명되고 있다.팔란티어는 최근 고등학교 졸업생 및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실력주의 펠로우십(Meritocracy Fellowship)’ 프로그램을 출범했다. 이 프로그램에 선발된 참가자는 오는 가을부터 4개월간 뉴욕 본사에서 근무하며 기술적 과제 해결 등 실무에 투입된다. 월 5400달러(약 750만원)의 급여도 지급된다.지원 자격은 대학에 재학 중이지 않은 고교 졸업생 또는 졸업 예정자로 파이썬(Python), R, SQL 등 프로그래밍 언어 및 통계 패키지 사용 경험이 있으면 우대받는다. 참가자는 SAT 1460점 또는 ACT 33점 이상의 성적을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자격은 기존 '대학'에 입학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이들에게는 이른바 '팔란티어 학위(Palantir Degree)'가 수여되며 성과가 우수한 경우 정규직 채용 면접 기회도 주어진다.팔란티어 측은 “미국 대학들의 불투명한 입시 기준은 실력주의와 탁월함을 밀어냈다”며 “주관적이고 피상적인 기준 때문에 자격 있는 학생들이 교육 기회를 잃고 있다. 이번 펠로우십은 그런 대학 입시 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