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미국 대형 기술 기업 직원 수가 15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 추세에 접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메타 등 5대 빅테크의 고용 흡수력이 한계에 도달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12일(현지시각) 일본경제신문(日本経済新聞, Nikkei)에 따르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지주회사), 아마존닷컴, 메타 다섯 개 기업의 직원 수를 반기별로 추적 집계한 결과 최초로 직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박원익 2023.08.15 15:09 PDT
"기존 사업자와 반대로 했습니다. 왜 2~3년 약정을 강요하나요? 왜 필요한 서비스는 없나요? 고객의 물음에 집중하고 집요하게 파고들었더니 혁신 기업으로 재탄생해 있더라구요." 미 워싱턴주 시애틀 인근 밸뷰(Bellevue)에 본사를 한 회사를 취재했습니다. A씨에게 직접 회사 성장 스토리를 들으니 이 회사의 혁신은 바로 '고객 마인드'에서 나왔구나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의 통신사업자 T모바일 스토리입니다. 한국에서는 T모바일이 생소합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혁신' 통신사업자의 대명사로 꼽힙니다. 버라이즌과 AT&T에 이어 가입자와 매출은 3위이지만 기업의 미래 가치를 말해주는 시가총액은 1657억달러 (211조 8000억원)로 세 통신사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버라이즌은 1431억 달러, AT&T는 1,033억달러, 2023년 7월 31일 기준). 가입자들이 매달 꼬박꼬박 내는 '현금'이 무기인 통신 시장은 가입자수와 매출이 곧 '가치'입니다. 하지만 T모바일은 상식을 뒤집었습니다. 지난달 이 회사 본사를 탐방, 취재했습니다. 직원들이 가장 많이 다니는 오픈 공간에 존 레저(John Legere) T모바일 전 CEO이 한 말이 쓰여져 있었습니다. "직원들의 말을 들어라. 고객의 말을 들어라. 닥치고 그들이 당신에게 하는 말 그대로 행동해라.(Listen to your employees, listen to your customers, shut the f*** up, and do what they tell you)"
손재권 2023.08.14 01:49 PDT
안녕하세요. 밀키스 여러분, 더밀크의 크리스정 투자팀장입니다. 먼저 구독자 여러분들을 위한 더밀크의 최신 투자 리포트 브리핑입니다. 버핏 이즈 백. 버크셔 해서웨이의 놀라운 2분기 실적으로 사상최고가 경신! 그런데 버핏이 1500억이나 현금을 쌓아두고 있는 이유는?비만 치료제 일라이 릴리의 놀라운 2분기 실적을 견인한 ‘마운자로’...비만 시장의 메가 블록버스터 된다 잠자는 숲 속의 디즈니…언제 깨어날 수 있을까? 밥 아이거의 디즈니 구조개혁안 집중분석 최상위 배당주 ... 더밀크 구독자들에게만 공개 배당 안정성도 A+, 매력도 A+, 보상위험도 A+의 이 기업은? 주가 13만% 오른 기업 2000년 이후 주가 상승 실적 전체 1위. 이 괴물같은 기업의 정체는? 오늘(8일, 현지시각) 뉴욕증시는 3대 지수가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 10개 은행에 대한 신용등급을 무더기로 강등했기 때문입니다. 실제 무디스는 미국 중소은행 10곳의 신용등급을 내리고 US뱅코프 등 대형은행에 대해서도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지난 1일에는 신용평가기관 피치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떨어뜨려 파장을 일으켰죠.심상치 않습니다. 여기에 2분기 실적시즌도 대부분의 빅테크 기업들이 실적을 보고하면서 마무리가 돼 가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는 물론 글로벌 경제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의 희비는 엇갈렸습니다. 도대체, 2023년 글로벌 경제, 어디로 가고 있는 것입니까?
크리스 정 2023.08.09 13:00 PDT
✔ BofA, "매수 의견 유지": 2분기 직원 수는 전년 대비 감소한데 반해 소매 효율성은 증가하며 향후 몇 분기동안 마진이 더 개선될 것으로 보고있다. AWS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이 되며 관련 업종 내 최선호주로 유지한다. 목표가 154달러에서 174달러로 상향 조정. ✔ JP모건, "비중확대 의견 유지": 아마존에 대한 우리의 강세 의견은 AWS가 안정화되고 소매 부문은 성장 가속화와 마진의 개선에 근거한다. 이는 아마존의 전체 자본 지출 감소와 결합되어 2023년에는 의미있는 FCF의 변곡점을 주도할 것이다. 올해 가이던스는 이런 논지가 실현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주가 상승을 이끌 것. 목표가 180달러로 상향 조정. ✔ 골드만삭스, "매수 의견 재확인": 아마존은 지난 2~3년 동안 시장 수익보다 부진했고 범위내에서 거래됐다. 이제 우린 전자상거래 마진이 최근의 역풍을 극복하고 광고 사업은 목표를 달성하며 AWS는 성장과 마진이 균형을 이루며 구조적 성장 기회를 활용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목표가 165달러에서 180달러로 상향.✔ 씨티그룹, "매수 등급 유지": AWS의 성장이 안정적으로 전환이 됐고 이커머스는 운영이 개선되면서 더 큰 마진 확대를 위한 좋은 위치에 자리했다. 2분기 운영소득(OI) 마진이 전년 대비 300bps나 확대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고 추천주. 목표가 167달러로 상향. ✔ 모건스탠리, "비중확대 의견 재확인": 여러 분기에 걸친 최적화 작업으로 AWS는 안정화되고 있다. 이제 더 많은 고객이 혁신을 주도하고 새로운 워크로드를 클라우드에 도입하고 있다. 이런 안정화와 워크로드 증가추세는 3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크리스 정 2023.08.08 09:44 PDT
뷰스레터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더밀크 박원익입니다. 일요일인 6일(미국 시간) 오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윗을 하나 날렸습니다. “저커버그와 머스크의 싸움을 X에서 생중계할 것(Zuck v Musk fight will be live-streamed on 𝕏)”이라는 짧은 메시지였습니다. 머스크의 트윗은 엄청난 속도로 4000만 뷰를 돌파했고, 5만 번 이상 리트윗(공유)됐습니다. 경기 중계를 한다는 건 '빅테크 CEO들이 펼치는 종합격투기 대결'이라는 전례 없는 이벤트가 실제로 진행된다는 의미였기 때문입니다. 곧바로 외신 기사가 쏟아졌고, 유명 IT 저널리스트 카라 스위셔(Kara Swisher)는 '어리석은 폭력(asinine violence)'이라는 비판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트윗 하나로 평화롭던 주말이 순식 간에 떠뜰썩하게 바뀐 셈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무슨 생각으로 이런 일을 벌이는 것일까요?관심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어텐션 이코노미(Attention economy)’에서 힌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어텐션 이코노미는 제한적인 자원인 인간의 주의력을 희소성 있는 재화로 간주한 이론입니다. 치열해진 소셜미디어 기업 간 경쟁이 이런 현상을 부추긴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스콧 갤러웨이 뉴욕대 교수는 “(소셜미디어에서의) 댓글, 말싸움, 급속도로 퍼져나가는 광기는 관심과 감정을 끌어모으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빙글빙글 돌아가는 어텐션 이코노미 시대. 글로벌 테크 기업들은 사용자의 관심을 얻기 위해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까요? 👉저크와 머스크는 왜 싸울까?
박원익 2023.08.08 08:11 PDT
마감시황[4:10pm ET]뉴욕증시는 혼재된 시그널을 보인 고용 보고서를 소화하며 3대 지수가 모두 하락 마감했다. 이번주 S&P500과 나스닥은 미국 신용등급 강등의 충격으로 4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3월 이후 최악의 주간 퍼포먼스를 기록했다. (다우 -0.43%, S&P500 -0.53%, 나스닥 -0.36%)2분기 어닝시즌 브리핑[3:12pm ET]이번 주 2분기 어닝시즌의 가장 바쁜 주간이 마무리가 되면서 약 79%의 기업이 시장의 예상을 상회하는 순이익을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피니티브에 따르면 매출 역시 64%가 예상을 상회했다. 미국 기업들의 순이익 증가세는 전년 대비 약 4.2%가 감소했으나 시장의 예상치였던 7%의 감소세보다는 상당히 개선됐다. 에너지 섹터, S&P500 11개 섹터 중 가장 강세[1:52pm ET]에너지 섹터가 이번주 S&P500 11개 섹터 중 가장 견고한 모습을 보이며 지금까지 약 2.4%가 넘게 상승했다. 에너지 섹터의 대표적인 ETF 상품인 XLE에 포함된 기업 중 APA(APA)가 지금까지 약 6%가 넘게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고 마라톤 페트롤리움(MPC), 파이오니어 내추럴 리소시스(PXD) 등이 5%가 넘게 올랐다. 에어비앤비(ABNB), 2분기 실적 및 주요내용[12:12pm ET]주당순이익(EPS): 예상 78센트 vs 실제 98센트(21.92% 어닝 서프라이즈)매출: 24억 2천만 달러 vs 실제 24억 8천만 달러(예상 부합)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 순이익은 전년 동기의 3억 7900만 달러에서 6억 5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71% 증가. 2분기 총 예약 금액은 19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 증가하며 시장 추정치였던 189억 9천만 달러를 상회. 2분기 동안 1억 1510만 개의 숙박과 경험이 예약되며 전년 대비 11% 증가했지만 시장 추정치였던 1억 1760만 건은 하회. 애플에 대한 믿음 그대로지만 일부 우려 커진다[10:17am ET]2016년 이후 처음으로 나타난 애플의 3분기 연속 매출 둔화세에 월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애플의 회계연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월가 투자은행은 대부분 애플에 대한 믿음을 드러냈지만 일부 역풍이 다가올수 있다는 분석이다. 모건스탠리는 "우린 아이패드와 맥의 매출을 과대평가했다. 두 제품 모두 9월 분기에도 어려운 상황이고 포스트 팬데믹 이후 수요의 소화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것만 아니라면 9월 가이던스는 견고했다."고 평가했다. 반면 BofA는 스마트폰 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면서 다음 분기도 회복에 확신을 가지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BofA는 "미국 스마트폰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아이폰 판매량이 크게 회복될 가능성은 낮다."며 아이패드와 맥은 포스트 팬데믹 이후의 지출 정상화로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애플의 실적이 전환점을 돌고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씨티그룹은 애플의 실적 이후 약 26%의 상승여력이 있는 목표가 주당 240달러를 유지하며 "9월 분기에 아이폰과 서비스 부문의 매출이 모두 전년 대비 성장세로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 우린 애플이 프리미엄 폰으로서 판매량보다 서비로의 전환과 마진의 최대화에 주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월가의견: 경기 연착륙 가능성 더 커졌다[10:01am ET]예상보다 부진한 신규고용에도 실업률은 더 낮게 집계되고 임금은 가파르게 오르는 혼재된 시그널에 월가는 최악의 경우에도 얕은 침체를 의미하는 '연착륙'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반응이다.PNC: 7월 일자리 보고서는 미국 경제의 연착륙을 의미한다. 일자리 성장은 점차 둔화되고 있다. 최근 물가와 고용의 둔화를 감안할때 연준은 9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인플레이션과 고용시장에 다른 데이터가 추가될 경우 올해 말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프린시플 에셋 매니지먼트: 오늘의 일자리 보고서는 연준의 딜레마를 해소하지 못할 것. 비둘기파는 2020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신규고용이 20만 아래로 떨어진 것이 고무적이겠지만 매파는 임금이 더 올랐고 실업률도 3.5%로 떨어지며 인플레의 고착화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에 주목할 것.LPL파이낸셜: 3~4개월 내에 상황이 바뀔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연착륙 가능성이 크다. 이 시점에서 연준은 노동 시장이 둔화되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면서 다음 회의에는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BMO 캐피탈: 9월 연준의 다른 움직임을 줄 만한 데이터는 이번 고용 보고서에는 없다.혼재된 시그널의 7월 고용보고서[9:51am ET]7월 미국의 고용은 예상보다 약했지만 견고한 속도로 증가했다. 실업률은 3.5%로 6월의 3.6%보다 낮게 발표되며 강력한 고용시장이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반면 강력한 고용시장이 계속됨에 따라 임금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올라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는 더 커졌다.미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7월 비농업 신규고용은 18만 7천명으로 월가의 전망치였던 20만명을 하회했다. 6월 수치 역시 18만 5천명으로 이전 발표치였던 20만 9천건에서 크게 하향 수정됐다.신규고용이 두 달 연속 예상보다 가파른 하향세를 보였지만 타이트한 고용시장은 실업률을 더 낮게 이끌었다. 실업률은 3.5%로 예상보다 낮게 집계된 것.특히 평균 시간당 임금이 전월 대비 0.4%, 전년 동기 대비 4.4%로 모두 예상보다 높았다. 인력을 구하는 기업들의 수가 구직자보다 많은 타이트한 고용시장이 계속되고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임금 상승 압박이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크리스 정 2023.08.04 13:12 PDT
마감시황[4:21pm ET]뉴욕증시는 국채금리의 상승과 달러의 강세속에 타이트해진 금융환경의 가능성을 가늠하며 3대 지수가 모두 하락 마감했다. (다우 -0.19%, S&P500 -0.25%, 나스닥 -0.10%)러셀2000 소형주 아직 진입할 때 아니다?[2:13pm ET]최근 중소형주의 러셀2000 지수가 시장을 능가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고금리 시대에는 대형주에 비해 부진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딜런 크레머 서튜이티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소형주는 절대적으로 대형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을 지녔다. 하지만 문제는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수익성이 없다는 점이다. 향후 도전적인 성장환경에 처하게 되면 소형주가 대형주에 비해 고전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올해 상반기 대형주와의 격차를 좁히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성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형주에 투자하기에 지금은 너무 이른 시점이라는 주장과 함께 상황을 보고 늦게 진입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수급 불균형 우려로 유가 급등...에너지 섹터 두각[1:12pm ET]미국의 오일 재고량이 1980년대 이후 최대폭의 감소세를 기록하며 강력한 수요를 시사하는 가운데 사우디의 감산 연장이 수급 불균형 우려를 촉발하며 유가가 급등했다. 크루드유는 2.59% 상승했고 천연가스는 3.2%가 올라 4일 만에 처음으로 상승세로 전환했다. 천연가스가 강세로 전환하며 관련 ETF 상품인 FCG(First Trust Natural Gas ETF)는 2.7%가 넘게 올라 7월 중반 이후 최고의 날을 보냈다. 에너지 섹터 역시 전반적인 시장의 부진속에 홀로 빛났다. 에너지 섹터는 1.5% 이상 급등했고 관련 기업은 APA(APA)가 6.4%가 오르는 등 초강세를 보였다. 👉 유가와 천연가스 상승의 수혜를 받는 안정적인 배당주, 에너지 트랜스퍼 여행 부문의 실적 예상보다 부진? 익스피디어 15% 급락[11:33am ET]대표적인 온라인 여행 사이트로 인식되는 익스피디어(EXPE)가 혼재된 2분기 실적을 보고하며 주가가 15% 이상 폭락했다. 익스피디어는 3일(현지시각) 발표한 2분기 실적보고에서 주당순이익은 주당 2.89달러로 시장의 예상치였던 2.32달러를 상회했지만 매출은 33억 6천만 달러로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다. 예약도 월가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익스피디어는 팩트셋의 추정치였던 282억 3천만 달러의 예약을 하회한 273억 2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익스피디어의 부진에 에어비앤비(ABNB)와 부킹홀딩스(BKNG) 등 다른 여행 관련주도 모두 2% 이상 하락했다. 한편 중국의 대표 여행 사이트인 트립 어드바이저(TRIP) 역시 엇갈린 2분기 실적을 보고하며 약 10% 가까이 하락했다. 워런 버핏 미 국채 100억 달러 매입 vs 빌 애크먼은 '매도'[10:21am ET]피치의 미 신용등급 강등 이후 월가의 저명한 투자자인 워런 버핏과 빌 애크먼이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투자 스탠스를 공개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있다. 워런 버핏은 피치의 신용등급 강등에 대해 "투자자들이 걱정하지 말아야 할 한가지가 있다면 바로 이것."이라며 미 국채 100억 달러를 매입했다. 버핏은 "다음주 우리의 유일한 질문은 향후 3개월에서 6개월 내에 100억 달러를 추가 매입해야 하는지 여부."라며 버크셔의 국채 추가 매입 가능성도 시사했다. 반면 퍼싱 스퀘어의 빌 애크먼은 장기 국채의 공급이 수요를 압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빌 애크먼은 "장기 부채는 공급과 수요의 관점에서 과매수됐다. 향후 실질적으로 더 높은 금리 없이 공급의 증가에 어떻게 대처할지 알기 어렵다."며 특히 30년 만기 국채의 하락에 상당한 베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빌 애크먼은 피치의 우려와 같이 향후 미국 정부의 예산 적자와 증가하는 지출 계획을 충당하기 위해 국채 발행이 더 늘어나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운송 비용 2년 만에 최대폭 상승[10:06am ET]컨테이너 운임비용이 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치솟으며 그동안 상품 인플레이션의 하락세를 이끌었던 해상 운송 비용의 침체가 16개월만에 끝났다는 신호를 발산했다. 전 세계 해상 운송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8개의 주요 무역 노선의 40피트 해상 컨테이너의 벤치마크 운임지수로 인식되는 드류어리 월드 컨테이너 인덱스는 전년 대비 11.8% 증가한 1761달러로 6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이자 최대 주간 상승세를 기록했다. 관련 기업들은 해상 운임의 회복 추세가 이어질 것이란 판단이다. 호놀룰루에 기반을 둔 컨테이너 운송업체인 매트슨은 "미국에 심각한 침체가 없는 한, 올해 남은 기간 무역 역학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라 전망했다. 매트슨(MATX) 주식은 올해 2022년 이후 최고치에 근접했다.미 2분기 생산성 대폭 개선되며 인건비 하락[9:54am ET]미국의 2분기 노동 생산성이 거의 3년 만에 가장 큰 증가세를 기록하며 치솟는 인건비를 상쇄했다. 노동통계국 수치에 따르면 2분기 노동 생산성은 1분기 감소를 기록한 이후 전년 대비 3.7%가 증가했다. 이는 시장의 추정치였던 2.2%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투입되는 노동력 대비 생산성이 급격히 개선되며 반대로 인건비는 1분기 3.3% 급증한 이후 1.6%로 감소했다. 높은 생산성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임금 및 기타 관련 비용의 상승을 억제한 것.기업들은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 지출을 줄이기 위해 신기술을 채택하거나 소프트웨어 및 장비에 투자한다. 2분기 생산성의 급격한 증가는 타이트한 고용시장에서 인건비의 상승을 억누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인플레이션의 둔화에 긍정적으로 인식된다.
크리스 정 2023.08.04 06:15 PDT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독자 여러분, 더밀크 박원익입니다. 저는 26일(현지시각) 맨해튼 재비츠 센터(Javits Center)에서 열린 ‘AWS 서밋 뉴욕(AWS Summit New York)’에 다녀왔습니다. 무더운 날씨 못지않게 현장의 열기가 뜨거웠는데요. 올해 행사가 유독 뜨거웠던 이유는 아마존이 추진 중인 ‘생성 AI’ 전략의 윤곽이 상당 부분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행사 주제가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트렌드 중심이었다면 올해는 작정하고 ‘AI’를 앞세웠다는 게 뚜렷이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AWS 서밋 뉴욕은 아마존(Amazon.com Inc.)의 자회사이자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가 매년 뉴욕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 겸 박람회입니다. AWS는 2011년부터 AWS 서밋 뉴욕을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기조연설에서 AWS의 새로운 생성 AI 제품 및 서비스가 발표됐고, 세션 주제 역시 생성 AI와 관련된 내용이 많았습니다. 기업 부스가 설치된 엑스포 전시관에는 오픈AI 경쟁자로 불리는 AI 전문기업 ‘코히어(Cohere)’ 부스가 보이기도 했습니다.
박원익 2023.07.29 17:00 PDT
디팍 싱(Deepak Singh) 아마존웹서비스(AWS) 부사장은 26일(현지시각) 더밀크와 단독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AWS는 최근 새로운 생성 AI 조직, ‘차세대 개발자 경험’을 만들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AWS가 생성 AI 대응 조직을 만들었다는 사실은 지난 7월 13일 인사이더 김의준 기자의 단독 기사로 외부에 처음 공개됐다. 인사이더가 AWS 내부 이메일을 입수, 생성 AI 붐에 대응하기 위해 AWS가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걸 확인한 것이다. ‘차세대 개발자 경험’ 조직은 AWS가 진행하는 생성 AI 비즈니스 관련 핵심 조직으로 평가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 생성 AI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하며 최근 아마존이 선보인 AI 기반 코드 생성 도구 ‘아마존 코드위스퍼러(Amazon CodeWhisperer)’팀이 차세대 개발자 경험 조직에 속해 있다.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 플랫폼 ‘베드록(Bedrock)’, 26일 새롭게 공개한 ‘아마존 베드록 에이전트(Agent for Amazon Bedrock)’와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더밀크는 차세대 개발자 경험 조직을 이끄는 디팍 싱 AWS 부사장을 ‘AWS 서밋 뉴욕(AWS Summit New York)’ 현장에서 만나 대면 인터뷰를 진행했다. 싱 부사장은 “고객이 생성 AI 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길 원하는지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앞으로 생성 AI 분야에서 많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박원익 2023.07.27 16:00 PDT